
Outlook(ADO))을 발표함
* 아시아개발은행(ADB) 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원국 중 일본, 호주, 뉴질랜드는 제외
** 연간 일정 : (4월)연간전망 → (7월)보충전망 → (9월)수정전망 → (12월)보충전망(필요시)
□ 아시아개발은행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25년 경제성장률을 ’25.7월 전망 대비 0.1%p 증가한 4.8%로 전망함. 미국의 관세 인상 및 통상 불확실성이 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각 정부의 완화적 재정·통화 정책 시행 등이 이를 일부 상쇄(cushion)할 것으로 전망함. 나아가 ’26년 역내 경제 성장률 전망은 4.5%로,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위축 효과 등을 감안하여 7월 전망 대비 0.1%p 하향 조정했다고 밝힘
ㅇ 아시아개발은행은 통상 불확실성 외에도 지정학적 긴장,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 우려 등을 주요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함
□ 아시아·태평양 지역 ’25년 물가상승률의 경우, 국제 유가 및 식료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물가가 안정화될 것으로 예측하며 7월 전망보다 0.3%p 하향한 1.7%로 전망함. 또한 ’26년 물가상승률은 2.1%로 7월의 전망을 유지함.
□ 한편, 아시아개발은행은 한국의 ’25년 성장률에 대해서는 7월에 발표한 전망치인 0.8%를 유지함. 7월 전망은 건설투자 감소, 수출 둔화, 부동산 시장 약세 등을 반영하여 4월 전망에 비해 0.7%p 하향 조정된 바 있음. 아시아개발은행은 건설경기 부진, 미국의 관세 인상 및 관련 불확실성 등이 지속되면서 7월 전망치를 유지하였으나,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된 통화정책은 하반기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함. 아울러 ’26년 경제성장률도 7월과 동일한 1.6%로 전망함
ㅇ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은 ’25년 1.9%, ’26년 1.9%로 두 해 모두 지난 7월 전망 수준을 유지

[출처] 아시아개발은행(ADB), ‘25년 한국 경제성장률 0.8%, 아시아 지역 성장률 4.8%로 전망 (2025.09.30.) / 기획재정부
목차
Foreword iv
Acknowledgments v
Definitions and Assumptions vi
Abbreviations vii
ADO September 2025—Highlights ix
PART 1 Growth Slows as a New Global Trade Environment Takes Shape 1
Growth Benefited from Export Front-loading as Price Pressures Continued to Subside 4
Growth Slows on Trade Headwinds 29
Risks to the Outlook Still Tilt to the Downside 39
Annex: Forecasts Downgraded on Higher US Tariffs and Trade Uncertainty 41
PART 2 Capital Inflows to Emerging Market Economies: Global Factors and the Role of Fundamentals 51
The Literature on Drivers of Capital Flow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55
Evolving Capital Flow Dynamic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59
Sensitivity of Emerging Market Capital Inflows to Global Factors and the Role of Domestic Fundamentals 70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75
Technical Appendix 77
References 92
PART 3 Economic Trends and Prospects in Developing Asia 97
Caucasus and Central Asia 99
East Asia 113
South Asia 125
Southeast Asia 149
The Pacific 180
PART 4 Statistical Appendix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