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 연구

목차

표제지 1

목차 8

요약 4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의 내용 17

3. 연구의 방법 19

Ⅱ. 교육 격차의 개념과 해소 방안 20

1. 교육 격차의 개념 20

가. 교육 격차 개념 관련 연구 20

나. 교육 격차 관련 연구의 유형 21

다. 교육 격차 논의에서 '교육'용어의 비판적 분석 22

라. 교육 격차 개념 22

2. 교육 격차의 원인 및 유형 24

가. 교육 격차와 기초학력 25

나. 코로나19와 교육회복 27

3. 교육 격차의 해소 방안 30

4. 시사점 32

Ⅲ.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격차 해소 사례 33

1. 국내의 교육 격차 해소 사례 33

가. 교육 콘텐츠 33

나. 교육 플랫폼 37

다. 교육 서비스 47

라. 교육 역량 51

마. 정보 인프라 55

2. 국외의 교육 격차 해소 사례 59

가. 국가 수준의 전략 수립 59

나. 교육 콘텐츠 62

다. 교육 플랫폼 70

라. 교육서비스 74

마. 교육 역량 77

바. 정보 인프라 - 취약 계층 단말기 및 인터넷 연결 지원 80

3. 시사점 81

가. 국내 사례 81

나. 국외 사례 84

Ⅳ.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격차 해소 방안 87

1. 디지털 기술 기반 교육 격차 해소 방안 87

가. 개인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87

나. 가정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89

다. 학교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90

라. 지역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92

2. 교육 격차 해소 방안의 타당성 검토 94

가. 개인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95

나. 가정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99

다. 학교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102

라. 지역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 107

마. 기타 의견 111

3.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 113

가.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보급 115

나.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및 활용 115

다. 교육 서비스 개발 및 활용 117

라. 정보 인프라 및 교육 환경 구축 118

마. 제도 및 지침 마련 119

4. 교육 격차 해소를 디지털 기술 적용 로드맵 120

가. 1단계 사업 122

나. 2단계 사업 123

다. 3단계 사업 124

Ⅴ. 결론 및 제언 125

참고문헌 128

ABSTRACT 134

[부록 1] 디지털 기술 유형별 사업 목록(국내) 137

[부록 2]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1차) 143

[부록 3]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2차) 150

판권기 163

〈표 Ⅰ-1〉 주된 원격수업 형태 15

〈표 Ⅱ-1〉 격차 유형에 따른 연구 문제 21

〈표 Ⅱ-2〉 기초학력 안전망 단계별 주요 사업 및 특징 27

〈표 Ⅱ-3〉 교육 회복 지원 과제 변경 28

〈표 Ⅱ-4〉 교육회복 지원 사업별 특징 29

〈표 Ⅲ-1〉 학생평가지원포털 이용 현황 37

〈표 Ⅲ-2〉 에듀넷ㆍ티-클리어 영역별 콘텐츠 제공 현황 38

〈표 Ⅲ-3〉 에듀넷ㆍ티-클리어 서비스 일 평균 방문자 수 현황 38

〈표 Ⅲ-4〉 온라인클래스 기능개선 만족도 조사 결과 39

〈표 Ⅲ-5〉 e학습터 이용 현황 40

〈표 Ⅲ-6〉 인공지능 단추서비스 주요 추진 경과 47

〈표 Ⅲ-7〉 시도별 AI교육 선도학교 배정 현황 51

〈표 Ⅲ-8〉 학기별 AI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생 현황 52

〈표 Ⅲ-9〉 학사운영 형태별 운영 현황 53

〈표 Ⅲ-10〉 교육정보화대회 연구 내용 및 응모 자격 54

〈표 Ⅲ-11〉 국가별 디지털 교육 관련 전략 및 교육 격차 해소 관련 사항 60

〈표 Ⅲ-12〉 교과교육 지능형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 65

〈표 Ⅲ-13〉 P2IA(인공지능 파트너십) 수학 및 프랑스어 프로그램 74

〈표 Ⅲ-14〉 디지털 기술 유형별 교육 격차 원인과 해소 유형(국내) 82

〈표 Ⅲ-15〉 디지털 기술 유형별 교육 격차 원인과 해소 유형(국외) 85

〈표 Ⅳ-1〉 응답자 수에 따른 CVR의 최솟값 94

〈표 Ⅳ-2〉 개인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1차 델파이) 95

〈표 Ⅳ-3〉 개인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2차 델파이) 98

〈표 Ⅳ-4〉 가정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1차 델파이) 99

〈표 Ⅳ-5〉 가정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2차 델파이) 101

〈표 Ⅳ-6〉 학교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1차 델파이) 102

〈표 Ⅳ-7〉 학교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2차 델파이) 105

〈표 Ⅳ-8〉 지역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1차 델파이) 107

〈표 Ⅳ-9〉 지역 변인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방안(2차 델파이) 109

〈표 Ⅳ-10〉 디지털 기술 적용에 따른 문제점 해소 방안(1차 델파이) 111

〈표 Ⅳ-11〉 디지털 기술 적용에 따른 문제점 해소 방안(2차 델파이) 112

〈표 Ⅳ-12〉 교육 격차 원인별 코드표 113

〈표 Ⅳ-13〉 디지털 기술 유형에 따른 코드표 113

〈표 Ⅳ-14〉 교육 격차 원인과 기술 유형에 따른 분류 114

〈표 Ⅳ-15〉 1단계 사업(단기 계획) 122

〈표 Ⅳ-16〉 2단계 사업(중기 계획) 123

〈표 Ⅳ-17〉 3단계 사업(장기 계획) 124

〈표 Ⅴ-1〉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연도별 교육격차 해소 과제 125

[그림 Ⅰ-1] 학교 폐쇄로 영향을 받는 학생 현황 14

[그림 Ⅰ-2] 원격수업의 유형별 운영 형태 15

[그림 Ⅰ-3] 학습격차에 대한 교사 의견 16

[그림 Ⅰ-4]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의 정책 비전과 과제 17

[그림 Ⅰ-5] 연구 내용 18

[그림 Ⅰ-6] 연구 방법 19

[그림 Ⅱ-1] 기초학력 지원 추진계획 26

[그림 Ⅲ-1] EBS 두리안 34

[그림 Ⅲ-2]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 꾸꾸 35

[그림 Ⅲ-3] 똑똑 수학탐험대 41

[그림 Ⅲ-4] 베이스캠프 42

[그림 Ⅲ-5] 한글 또박또박 분석 결과 보고서 43

[그림 Ⅲ-6] 이스쿨 운영 추진 체계 및 역할 44

[그림 Ⅲ-7] 2017-2020년 대비 2021년 월별 학생 수 45

[그림 Ⅲ-8] 랜선야학 광고 49

[그림 Ⅲ-9] 온라인 보충과정 신청 학생 수 50

[그림 Ⅲ-10] 연도별 초ㆍ중ㆍ고 교육정보화 지원 사업 예산 금액 56

[그림 Ⅲ-11] 삼성 스마트스쿨 스토리 58

[그림 Ⅲ-12] 교육기술 혁신의 대상 61

[그림 Ⅲ-13] 교육기기의 교육적 효과 62

[그림 Ⅲ-14] 영국 Queen's Church of England Academy의 4D 몰입교실 63

[그림 Ⅲ-15] KARMLS 개발에 활용한 기술 사양 64

[그림 Ⅲ-16] KARMLS 스크린 64

[그림 Ⅲ-17] ALEKS의 지식공간 사례 66

[그림 Ⅲ-18] RWT! 학습 화면 66

[그림 Ⅲ-19] WEL의 주요 내용 67

[그림 Ⅲ-20] BookRoll 화면과 학습분석 결과 68

[그림 Ⅲ-21] AI 텍스트북 특성 69

[그림 Ⅲ-22] 지능형 교과서와 일반 교과서, e-book의 교육 효과 분석 69

[그림 Ⅲ-23] ALEKS 시스템 72

[그림 Ⅲ-24] Broward County Public Schools district에서 Ask BRIA 제공 화면 75

[그림 Ⅲ-25] Symphony Classroom의 외형 76

[그림 Ⅲ-26] Class Charts의 학생행동 분석 화면 77

[그림 Ⅲ-27] 보편적 학습 설계 지침 79

[그림 Ⅳ-1]/[그림 Ⅴ-1] 시급성과 적절성에 따른 단계별 사업 120

[그림 Ⅳ-2]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의 로드맵 121

해시태그

#교육격차 # 디지털교육 # 맞춤형학습 # AI기반학습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적용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