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보고서는 학령인구 급감과 수도권 대학 선호 심화로 비수도권 지역 대학의 존립 기반이 빠르게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대학이 증가하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 기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국회미래연구원은 지난 7월 발간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교육 위기, 미래 대학교육 시스템 전환 필요성 검토」 보고서에서, 2017년 이후 출생아 수가 30만 명대 이하로 하락한 추세에 따라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기인 2036년부터 신입생 대규모 미충원 사태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당시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학 입학정원이 현 수준을 유지하고 해당 출생아가 모두 대학에 진학한다고 가정해도 신입생 충원율은 2036년 80.8%, 2040년 58.8%, 2043년 53.8%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대학진학률과 입학정원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2040년에는 모집정원 대비 신입생 미충원율이 비수도권 전문대학 82.3%, 수도권 전문대학 67.2%, 비수도권 4년제 일반대학 52.5%, 수도권 4년제 일반대학 42.8%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보고서는 향후 10~15년 이내 다수의 지역대학, 특히 비수도권 사립대학과 전문대학이 심각한 존립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을 지적하며, 대학의 교육수요자에 대한 인식을 학령기 학생 중심에서 성인학습자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 발간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지역 대학의 평생교육 중심 시스템 전환 방향」 보고서는 이러한 위기 진단을 토대로, 지역 대학이 성인학습자 중심의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 정책 방향과 구조개혁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학령기 학생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체제로는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증가하는 성인학습자와 지역의 평생직업교육 수요를 중심에 둔 새로운 대학교육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국회미래연구원은 지난 7월 발간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교육 위기, 미래 대학교육 시스템 전환 필요성 검토」 보고서에서, 2017년 이후 출생아 수가 30만 명대 이하로 하락한 추세에 따라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기인 2036년부터 신입생 대규모 미충원 사태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당시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학 입학정원이 현 수준을 유지하고 해당 출생아가 모두 대학에 진학한다고 가정해도 신입생 충원율은 2036년 80.8%, 2040년 58.8%, 2043년 53.8%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대학진학률과 입학정원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2040년에는 모집정원 대비 신입생 미충원율이 비수도권 전문대학 82.3%, 수도권 전문대학 67.2%, 비수도권 4년제 일반대학 52.5%, 수도권 4년제 일반대학 42.8%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보고서는 향후 10~15년 이내 다수의 지역대학, 특히 비수도권 사립대학과 전문대학이 심각한 존립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을 지적하며, 대학의 교육수요자에 대한 인식을 학령기 학생 중심에서 성인학습자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 발간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지역 대학의 평생교육 중심 시스템 전환 방향」 보고서는 이러한 위기 진단을 토대로, 지역 대학이 성인학습자 중심의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 정책 방향과 구조개혁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학령기 학생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체제로는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증가하는 성인학습자와 지역의 평생직업교육 수요를 중심에 둔 새로운 대학교육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지역 대학의 평생교육 중심 시스템 전환 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