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영국의 창조산업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

□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11월 24일(월) 영국 창조산업을 주제로 『최신외국정책정보』(2025-22호, 통권 제22호)를 발간함. 이번 호에는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 사례를 다룸

□ 영국의 중앙부처인 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창조산업을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에 기반을 두고 지식재산권 생성 및 개발을 통해 국가의 부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산업’으로 정의하며, 이를 8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옴
 ㅇ 특히 2025년 1월 영국 정부는 영국 전역에 걸친 수백 개의 창조기업과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6,000만 파운드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으며, 이 패키지에는 스타트업 비디오게임 스튜디오, 음악·영화 수출기업 및 지역별 창조기업에 대한 4,000만 파운드 규모의 투자가 포함됨
 ㅇ 영국은 1970년대 이후 웨일스의 광업 및 제조업 중심의 전통 산업 쇠퇴를 경험했으나, 카디프대학 창조경제센터(Centre for the Creative Economy) 주도의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2018∼2023년)를 통해 창조산업 생태계를 발전시킴
 ㅇ 또한 미디어 캄뤼(Media Cymru)는 5,000만 파운드 규모의 5개년(2022∼2027년) 프로그램으로, 카디프 수도권 미디어 분야의 성장·혁신을 촉진하며 친환경 및 공정한 경제성장과 함께 글로벌 미디어 혁신 허브로의 전환을 이끌어 가고 있음

□ 김현주 국회도서관 해외자료조사관은 “영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창조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총부가가치는 1,230억 파운드(국가경제생산의 5.37%)”라고 밝힘. 이어 “이 비중은 2010년 4.7%에서 지속 증가한 결과로써 영국은 미국·아일랜드에 이어 세계 3대 창조산업 서비스 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강조함

□ 현은희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장은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전환기적 시대에 창조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며, “영국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정책은 우리나라에도 좋은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출처] 영국의 창조산업 :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 - 국회도서관, 『최신외국정책정보』 (2025-22호, 통권 제22호) 발간 (2025.11.24.) / 국회도서관 보도자료 

목차

목차 1

영국의 창조산업 :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 / 김현주 1

[요약] 1

I. 영국의 창조산업 현황 및 발전배경 1

II. 창조산업 클러스터 프로그램(CICP) 2

III. 클러스터 프로젝트 및 미디어 캄뤼 3

1. 클러스터(Clwstwr) 프로젝트 3

2. 미디어 캄뤼(Media Cymru) 4

해시태그

#최신외국정책정보 # 영국창조산업 # 미디어혁신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영국의 창조산업 :웨일스 클러스터 프로젝트와 미디어 캄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