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11.26일(수) 오전 8시 30분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 TF를 개최하여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세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함
ㅇ 정부는 지난 8.22(금)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제시함. 기업 중심의 20개 민관 합동 추진단을 구성·운영하며 지난 9월~10월 간 10개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등 잠재성장률 반등을 위한 핵심 경제성장전략인 초혁신경제 프로젝트를 쉼없이 추진하고 있음
* (1차) 차세대(SiC 등) 전력반도체, LNG화물창, 그래핀, 특수탄소강, K-식품
(2차)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 AI바이오 오픈생태계, K-뷰티
□ 이번 세 번째 발표에서는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 3개 프로젝트의 ❶차세대 태양광, ❷차세대 전력망, ❸해상풍력, ❹HVDC*, ❺그린수소, ❻SMR** 6개 과제에 대한 추진계획을 공개함
* 고압직류송전방식(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 전력을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장거리 송전 후 다시 교류로 변환하여 대용량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술
**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 300MWe 이하 출력을 가지며, 원자로 구성품을 모듈형으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가능한 원자로
□ 정부는 초혁신경제 프로젝트에 국가의 모든 역량과 재원을 총동원하여 재정·세제·금융·인재양성·규제개선 등 패키지 지원을 제공할 계획임. 향후 5년간을 우리 경제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가시적 성과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며, 나머지 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연내 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임
□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Ⅲ) 주요 내용
① 차세대 태양광 상용화
▶초고효율 텐덤 태양전지(태양광유리 포함) 핵심기술 확보 조기 상용화 집중 지원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국내외 표준․인증체계 마련
▶ 이를 통해 향후 5년 내 세계 최초 상용화 및 텐덤셀 35%, 모듈 28%*의 세계 최고 수준 효율 달성을 목표로 함
* 셀효율 : (28년)32% → (30년)35%, 모듈 효율 : (28년)25% → (30년)28%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초고효율 탠덤셀 상용화 기술개발(336억원)
②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 AI 활용 분산자원 관리
▶ 입지별(농공산단, 대학캠퍼스, 군부대, 공항 등)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 단계적 전력시장 개편(재생에너지 입찰시장 도입 등)
▶ 전남, 제주, 부산 등 분산자원을 활용한 모델을 실현하고, 첨단산업의 비수도권 유치를 유도해 나갈 예정임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AI 활용 ESS 구축지원(1,176억원), AI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총 702억원), AI 분산전력망 브릿지 핵심기술개발(34억원) 등
③ 초대형 해상풍력 보급
▶ 20MW+급 초대형 해상풍력터빈 단가절감
▶ 부유식 기술개발 등을 통해 해상풍력 기술의 선진국 수준 달성을 목표로 함
▶ 글로벌 해상풍력 기업과의 인력양성 협을 통해 급증하는 우수전문인력 수요에 부응할 계획임
* 풍력발전 유형별 연평균증가율 전망(25~30년) : (육상풍력) 6.6%, (해상풍력) 27%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풍력, 698억원)
④ HVDC 상용화
▶ 양극(Bi-pole) 변환용 변압기* 기술을 조기 확보
▶ 산학연 합동 HVDC 인력양성을 통해 안정적 재생에너지 보급 및 2030년까지 차질없는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새만금-서화성)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직류→교류, 교류→직류 변환에 사용하는 특수 변압기로, (+), (-) 양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단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성, 안정성 등의 장점 보유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500kV급전압형HVDC변환용변압기기술개발(120억원)
⑤ 그린수소 생산·실증 프로젝트
▶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개발
▶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최대 100MW급, ~’33년)을 통해 경제성과 생산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함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5MW PEM 수전해 시스템 개발(100억원), 계통분리형 수소 마이크로그리드 운영기술 개발(75억원) 등
⑥ 한국형 SMR 개발
▶ i-SMR(경수형) 표준설계인가를 ’28년까지 획득하여 신속한 상용화를 추진함
▶ 산업·운송 분야 활용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차세대 SMR(비경수형)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시장수요에 대비함
▶지역별 파운드리 거점도 구축하여 탄탄한 산업생태계를 마련함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i-SMR 기술개발사업(총 641억원), 민관합작 선진원자로(SFR) 수출 기반 구축사업(70억), SMR 제작지원센터 구축(102억원) 등
[출처] 초혁신경제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 3개 프로젝트, 6개 과제 추진계획 발표 (2025.11.26.)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ㅇ 정부는 지난 8.22(금)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제시함. 기업 중심의 20개 민관 합동 추진단을 구성·운영하며 지난 9월~10월 간 10개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등 잠재성장률 반등을 위한 핵심 경제성장전략인 초혁신경제 프로젝트를 쉼없이 추진하고 있음
* (1차) 차세대(SiC 등) 전력반도체, LNG화물창, 그래핀, 특수탄소강, K-식품
(2차) 스마트농업, 스마트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 AI바이오 오픈생태계, K-뷰티
□ 이번 세 번째 발표에서는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 3개 프로젝트의 ❶차세대 태양광, ❷차세대 전력망, ❸해상풍력, ❹HVDC*, ❺그린수소, ❻SMR** 6개 과제에 대한 추진계획을 공개함
* 고압직류송전방식(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 전력을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장거리 송전 후 다시 교류로 변환하여 대용량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술
**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 300MWe 이하 출력을 가지며, 원자로 구성품을 모듈형으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가능한 원자로
□ 정부는 초혁신경제 프로젝트에 국가의 모든 역량과 재원을 총동원하여 재정·세제·금융·인재양성·규제개선 등 패키지 지원을 제공할 계획임. 향후 5년간을 우리 경제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가시적 성과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며, 나머지 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연내 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임
□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Ⅲ) 주요 내용
① 차세대 태양광 상용화
▶초고효율 텐덤 태양전지(태양광유리 포함) 핵심기술 확보 조기 상용화 집중 지원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국내외 표준․인증체계 마련
▶ 이를 통해 향후 5년 내 세계 최초 상용화 및 텐덤셀 35%, 모듈 28%*의 세계 최고 수준 효율 달성을 목표로 함
* 셀효율 : (28년)32% → (30년)35%, 모듈 효율 : (28년)25% → (30년)28%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초고효율 탠덤셀 상용화 기술개발(336억원)
②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 AI 활용 분산자원 관리
▶ 입지별(농공산단, 대학캠퍼스, 군부대, 공항 등)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 단계적 전력시장 개편(재생에너지 입찰시장 도입 등)
▶ 전남, 제주, 부산 등 분산자원을 활용한 모델을 실현하고, 첨단산업의 비수도권 유치를 유도해 나갈 예정임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AI 활용 ESS 구축지원(1,176억원), AI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총 702억원), AI 분산전력망 브릿지 핵심기술개발(34억원) 등
③ 초대형 해상풍력 보급
▶ 20MW+급 초대형 해상풍력터빈 단가절감
▶ 부유식 기술개발 등을 통해 해상풍력 기술의 선진국 수준 달성을 목표로 함
▶ 글로벌 해상풍력 기업과의 인력양성 협을 통해 급증하는 우수전문인력 수요에 부응할 계획임
* 풍력발전 유형별 연평균증가율 전망(25~30년) : (육상풍력) 6.6%, (해상풍력) 27%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풍력, 698억원)
④ HVDC 상용화
▶ 양극(Bi-pole) 변환용 변압기* 기술을 조기 확보
▶ 산학연 합동 HVDC 인력양성을 통해 안정적 재생에너지 보급 및 2030년까지 차질없는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새만금-서화성)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직류→교류, 교류→직류 변환에 사용하는 특수 변압기로, (+), (-) 양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단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성, 안정성 등의 장점 보유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500kV급전압형HVDC변환용변압기기술개발(120억원)
⑤ 그린수소 생산·실증 프로젝트
▶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개발
▶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최대 100MW급, ~’33년)을 통해 경제성과 생산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함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5MW PEM 수전해 시스템 개발(100억원), 계통분리형 수소 마이크로그리드 운영기술 개발(75억원) 등
⑥ 한국형 SMR 개발
▶ i-SMR(경수형) 표준설계인가를 ’28년까지 획득하여 신속한 상용화를 추진함
▶ 산업·운송 분야 활용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차세대 SMR(비경수형)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시장수요에 대비함
▶지역별 파운드리 거점도 구축하여 탄탄한 산업생태계를 마련함
※ ‘26년 예산안 주요 내용: i-SMR 기술개발사업(총 641억원), 민관합작 선진원자로(SFR) 수출 기반 구축사업(70억), SMR 제작지원센터 구축(102억원) 등
[출처] 초혁신경제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 3개 프로젝트, 6개 과제 추진계획 발표 (2025.11.26.)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목차
Ⅰ. 추진배경 1
Ⅱ. 추진방향, 선정절차 및 선정기준 2
Ⅲ. 체계도 및 추진체계 4
Ⅳ. 향후계획 5
Ⅴ. 프로젝트별 추진계획 (Ⅲ) 6
참고. 15대 프로젝트 세부 일정 (Ⅲ) 4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 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