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탄소중립 정책연구

[관련 자료] 탄소중립 이행,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나? /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Abstract 7

제1장 서론 43

제1절 서론 44

1. 연구 배경 및 목적 44

2. 연구 경과 및 체계 45

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중장기 전략 분석 49

제1절 국제 분석 50

1. 배경 50

2. 주요국의 기후변화 대응 분석 52

가. 주요국 대응 52

나. 국제사회의 감축목표 상향과 탄소중립 63

3.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투자 특징 분석 72

가. 기후재원 논의 경과 72

나. 국제사회의 개도국 지원 79

다. 민간의 기후대응 투자 87

4.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분석 97

가.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97

나.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125

5. 국제탄소시장 및 탄소가격제 분석 148

가. 국제사회의 탄소가격제 도입 148

나. 국제탄소시장 메커니즘 논의 153

다. 국제 탄소상쇄 프로그램 사례 156

6. 결론 163

가. 요약 163

나. 국제협력 방향과 과제 167

제2절 국내 분석 174

1. 2030 NDC 분석 174

가. 경제 파급효과 분석(탄소가격제) 174

나. 산업 영향 182

다. 노동시장 영향 분석 184

2. 전환적 관점의 탄소중립 국가전략 활성화 방안 197

가.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전략: 이론적 배경 197

나. 국가전략 활성화 방향 203

제3장 국내 부문별 세부 쟁점 및 대응방향 209

제1절 전환부문 210

1. 기존 계획 수정의 필요성 210

가. 재생에너지 비중 210

나.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 212

2. 2050 탄소중립 전환부문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214

가. 2030 NDC와 차기(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정합성 214

나. 2040 재생에너지 목표 설정 217

다. 2050 넷제로 목표달성을 위한 전환부문 과제 223

제2절 산업부문 229

1. 배경 229

가.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현황과 특성 229

나. 산업부문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의의 234

2.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현안 237

가. 산업부문의 2050 탄소중립 비전 237

나. 주요 추진방향과 영향 238

다. 전제조건 및 핵심 현안 240

제3절 수송부문 242

1. 수송부문 탄소중립 정책 개요 242

가. 국내 수송부문 탄소중립 정책 242

2. 도로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47

가. 도로부문 탄소배출 현황 247

나. 도로부문 주요 쟁점 및 대응방향 247

3. 철도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54

가. 철도부문 현황 254

나. 장애요인 260

다. 추진방향 및 과제 262

4. 항공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64

가. 항공부문 현황 264

나. 항공부문 주요 이슈 및 전망 265

다.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항공부문 정책방향 268

5. 물류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73

가. 현안 273

나. 장애요인 276

다. 추진방향 및 과제 282

6. 해운부문 쟁점 및 대응방향 285

가. 국내 해운부문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285

나. 국외 해운부문 탄소배출 정책 사례 291

다. 국내 해운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295

제4절 건물부문 303

1. 정책 현황 303

가. 국내 정책 현황 303

나. 국외 정책 현황 306

2. 현안 및 쟁점 사항 310

가. 건물에너지 효율향상 부문 310

나. 탄소중립을 위한 인프라 부족 312

다. 기타 쟁점 사항 313

3. 건물부문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추진방향 316

가. 건물에너지 효율향상 부문 316

나. 탄소중립 인프라 확보방안 320

다. 기타 쟁점 사항 대응방향 323

4. 결론 327

제5절 농업부문 32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28

가. 연구의 필요성 328

나. 연구 목적 329

2. 농업부문 탄소배출 현황 및 감축목표 330

가. 농업부문 탄소배출량 현황 330

나. 농업부문 탄소배출 감축목표 331

3. 탄소감축 수단 및 평가 333

가. 비에너지 333

나. 에너지 355

4. 탄소중립 정책방향 367

가. 비에너지 367

나. 에너지 371

제6절 수산 및 해양 부문 377

1. 수산부문 377

가. 수산부문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378

나. 국외 수산부문 탄소중립 관련 정책 382

다. 수산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전문가 조사 384

라. 국내 수산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396

마. 소결 400

2. 블루카본 401

가. 우리나라 블루카본 현황 및 관리 402

나. 국외 블루카본 현황 및 관리 409

다. 블루카본 쟁점 사항 411

라. 소결 418

3.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419

가.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의 탄소중립 추진현황 및 문제점 419

나. 국외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정책 425

다.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의 쟁점 사항 429

라.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부문 탄소중립 구현방안 430

4. 항만분야 탈탄소화 433

가. 우리나라 항만 탄소배출 현황과 문제점 436

나. 국외 항만 탄소배출 저감 사례 444

다. 국내 항만 탄소배출 저감 사례 448

라. 탄소중립 항만 구현방안 451

5. 해상풍력과 해역 이용방식의 전환 454

가. 해상풍력 국내외 추진동향 455

나. 해상풍력 해역 이용방식의 특성 461

다. 해역 이용방식의 변화 469

제7절 폐기물 부문 472

1. 국내 폐기물 부문 현황 472

가. 폐기물 발생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472

나. 폐기물 부문 감축목표 및 국가 폐기물 정책 현황 476

2. 순환경제와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479

가. 순환경제로의 이행과 온실가스 감축 479

나. 순환경제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480

다. 국내 시사점 481

3.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폐기물 부문 주요 현안 483

가. 주요 현안에 대한 다각도 분석 483

나. 현안 관련 주요 이슈 486

4. 순환경제 이행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대응방향 489

가. 중장기 대응방향 489

나. 정책 주체별 대응방향 491

다. 순환경제 달성을 위한 대전환적 목표 493

제4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기반 점검 및 구축 분야 498

제1절 재생에너지 확대 499

1. 국내외 재생에너지 현황 및 목표 499

가.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에서의 목표 비교 499

나. 국내 재생에너지 목표의 비교와 시사점 501

2. 재생에너지 확산을 통한 탄소중립 구현 504

가. 제주도 재생에너지 확대의 시사점 504

나. 재생에너지가 전력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507

3.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512

가. 2030년 NDC 상향조정에 따른 고려사항 513

나. 2040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한 과제 516

다. 2050 넷제로 달성을 위한 그린에너지 통합시스템 518

제2절 에너지가격, 전력시장제도 520

1.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가격체계 개편 520

가. 에너지 가격체계의 현황 520

나. 에너지 가격체계의 문제점 및 개편방향 530

2.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시장제도 개편 534

가. 전력시장제도 현황 및 문제점 534

나. 전력시장제도 개편방향 540

3.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 과제 543

가. NDC 상향조정 단계(2030년) 543

나. 중간 단계(2040년) 545

다. 탄소중립 목표달성 단계(2050년) 548

제3절 에너지세제, 탄소세 550

1. 배경 550

가.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요 550

나. 탄소가격체계 현황 550

2. 탄소배출 관련 현황 및 제세부담금 현황 553

가. 우리나라 현행 에너지 관련 세제 체계 553

나. 주요국과의 국제비교 555

3. 주요국의 탄소가격체계 도입 사례 564

가. 탄소세 도입 사례 564

나.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연계 사례 567

4.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편방안 570

가. 현행 탄소가격체계 적정성 평가 570

나. 탄소가격체계 도입방안 576

제4절 바람직한 산업재편 방향 581

1. 탄소중립과 한국 산업의 SWOT 분석 581

가. 한국 산업의 강점 및 기회요인 581

나. 한국 산업의 약점 및 위협요인 582

2. 주요 산업의 탄소중립 추진방향 및 전망 584

가. 소재산업 584

나. 전기전자 산업 587

다. 수송ㆍ일반기계 산업 588

3. 추진전략 591

가. 기본 방향 591

나. 주요 전략 594

제5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방향 599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599

가. 연구 배경 599

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601

2. 탄소중립 R&D 투자현황 및 정책동향 602

가. 국내외 탄소중립 R&D 투자 602

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현황 및 개선방향 609

3. 탄소중립 중점기술별 과학기술정책 방안 621

가. 탄소중립 중점기술 선정 621

나. 탄소중립 중점기술별 정책방안 631

4. 결론 661

제5장 탄소중립 구현방안: 실천적 이행방안 663

제1절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664

1.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 664

가. 정의로운 전환과 거버넌스 664

나. 정의로운 전환 거버넌스 국외 사례 665

2. 거버넌스 진단과 발전방향 667

가. 현재의 거버넌스 667

나. 발전방향 668

3.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669

가. 중층적 거버넌스 669

나. 사회적 대화 670

다. 단체교섭 671

제2절 보건분야 사회안전망 확충방안 672

1. 보건분야 사회안전망 확충의 필요성 672

2. 국외 보건분야 탄소중립 정책 동향 676

가. 미국 676

나. 영국 681

다. 캐나다 685

라. 국제기구 689

3. 우선순위 보건정책 실천방안 692

가. 국민건강보장체계 지원을 위한 실천방안 692

나. 보건분야 공동편익을 위한 실천방안 703

다. 기후-건강 리터러시 제고를 위한 실천방안 710

제3절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 720

1. 모빌리티 전환 및 관련 인프라 확충방향 720

가. 친환경 자동차 전환 및 친환경 모빌리티 확대방향 720

나. 전기충전소 및 수소충전소 확충방안 724

다.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방향 729

2.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지원정책 방향 736

가. 친환경차 전환을 위한 보조금 지원 및 공정 전환 736

나. 교통세제 개편 및 투자재원 확보 739

제4절 탄소세 도입의 주요 쟁점: 세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741

1.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과 의미 741

가. 기존 에너지 세제의 문제 741

나. 탄소세 도입의 장점과 유의점 742

다.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의 정책 조합 743

2. 탄소세 도입 방향: 세입에서의 주요 쟁점들 745

가. 배출권거래제와의 정책 조합 745

나. 과세의 범위 745

다. 탄소세의 적절 세율 748

라. 산업별ㆍ부문별 차등화 749

마. 탄소세 부과 시점 750

3.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세수 활용방안 751

가. 탄소세를 둘러싼 우려와 세수 활용방안 751

나. 국가별 세수 활용방안과 사회적 수용성 문제 752

다. 세수 활용방안을 통한 사회적 수용성의 개선 가능성 754

라. 세수 활용방안과 정보제공의 상호작용 757

마. 장기효과 758

4. 정책 제언 760

제5절 탄소중립 리빙랩 모델 개발 761

1. 탄소중립 리빙랩의 필요성 761

가. 리빙랩의 개념 및 특성 761

나.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필요성 762

2.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현황 및 국내외 주요 사례 765

가.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현황 765

나. 국내외 주요 사례 767

3. 탄소중립 리빙랩 추진모델 제안: '탄소중립 섬' 780

가. 추진 배경 781

나. 추진 개요 782

다. 추진 절차 및 세부 추진 방법 786

4. 결론 및 시사점 789

제6장 요약 및 결론 791

1. 주요 현안 792

2. 주요 정책과제 796

가. 기반 점검 및 구축 분야 797

나. 실천적 이행 주요 분야 804

다. 거버넌스 체계 구축 강화 810

참고문헌 820

판권기 873

〈표 1-1〉 연구 경과: 세미나 개최, 이슈페이퍼 발간, 국민토론회 개최 46

〈표 1-2〉 주요 연구내용 및 참여기관별 역할 48

〈표 2-1〉 주요국의 NDC 세부내용 비교 68

〈표 2-2〉 넷제로 선언 국가별 현황 71

〈표 2-3〉 글로벌 기후재원과 기타 주제별 재원 비교 74

〈표 2-4〉 선진국의 기후재원 조성규모 전망치 75

〈표 2-5〉 지속가능금융 관련 글로벌 이니셔티브 78

〈표 2-6〉 GCCA+ 우선지원 영역별 주요 지원사업 사례 99

〈표 2-7〉 Urban-LEDs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101

〈표 2-8〉 Urban-LEDs 단계별 사업 개요 102

〈표 2-9〉 EUROCLIMA 주요 협력 프로젝트 103

〈표 2-10〉 USAID 기후변화 지원 프로젝트 사례 105

〈표 2-11〉 DFC 기후변화 지원 프로젝트 사례 107

〈표 2-12〉 EPA 기후변화 협력사업 추진 사례 108

〈표 2-13〉 일본의 개도국 기후변화 지원사업 사례(지역별) 109

〈표 2-14〉 일본 JICA의 기후변화 분야별 지원현황 110

〈표 2-15〉 ACE 행동계획(2013년)의 주요 내용 111

〈표 2-16〉 "기후변화 대응 지원 이니셔티브 2018"의 주요 내용 112

〈표 2-17〉 GCF의 민간 프로젝트 지원 사례 117

〈표 2-18〉 GEF 승인기관 현황 118

〈표 2-19〉 GEF의 민간부문 참여 촉진 프로그램 121

〈표 2-20〉 주요 다자개발은행의 기후변화 재원 현황 123

〈표 2-21〉 주요 다자개발은행의 기후변화 관련 지원 목표 124

〈표 2-22〉 UN 유럽경제위원회 '기후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네 가지 일반원칙 126

〈표 2-23〉 '도시 에너지 기반시설' 분야의 기후중립을 위한 에너지 균형 및 정책 대안 개념 127

〈표 2-24〉 '주거 및 상업 건물' 분야의 에너지 효율 키워드와 건물 에너지 효율의 한계 128

〈표 2-25〉 유럽연합 기후중립 임무를 위한 도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온실가스 배출원 및 영역 분류 130

〈표 2-26〉 유럽연합 건물 영역 기후중립 실천방안 131

〈표 2-27〉 유럽연합 수송 영역 기후중립 실천방안 132

〈표 2-28〉 CNCA의 기후행동 유도를 위한 7개 원칙 134

〈표 2-29〉 CNCA Game Change Fund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정책 유형 및 세부 사항 136

〈표 2-30〉 CNCA Innovation Fund 프로그램 2021년도 선정 프로젝트 136

〈표 2-3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제9장 143

〈표 2-32〉 EU CBAM 입법안의 주요 구성 151

〈표 2-33〉 EU의 CBAM 적용 상품의 10대 수입국 152

〈표 2-34〉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등록 및 CERs 발행 추이 158

〈표 2-35〉 청정개발체제(CDM)와 지속가능 메커니즘(SDM) 비교 160

〈표 2-36〉 일본 JCM 프로젝트 유형 162

〈표 2-37〉 CGE 모형에서의 산업분류 176

〈표 2-38〉 CGE 모형의 대체탄력성 가정 177

〈표 2-39〉 글로벌 다지역 CGE 분석을 위한 지역 구성 178

〈표 2-40〉 2030년 세부 업종별 주요 감축수단 184

〈표 2-41〉 2030 NDC 주요 감축수단 186

〈표 2-42〉 전환부문 전원구성의 변화(발전량 기준) 188

〈표 2-43〉 석탄화력발전 부문 고용현황 190

〈표 2-44〉 화력발전소 연료전환에 따른 고용변화 190

〈표 2-45〉 석탄화력 폐지 후 인력 재배치 현황 191

〈표 2-46〉 화력 및 신재생의 투입물 193

〈표 2-47〉 전환 거버넌스 활동 유형 특성 201

〈표 2-48〉 우리나라 탄소중립 3+1 전략별 10대 중점과제 추진현황 205

〈표 3-1〉 전원별 발전량 비중(9차 계획) 211

〈표 3-2〉/〈표 2-2〉 2030년 전원믹스 구성(2030 NDC 상향안) 211

〈표 3-3〉 시나리오상 전원별 발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전환부문) 211

〈표 3-4〉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로드맵 수정안 주요 내용 212

〈표 3-5〉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 NDC 상향안) 213

〈표 3-6〉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시장 개편 내역 216

〈표 3-7〉 2030 NDC 상향안 분석(온실가스 배출량) 218

〈표 3-8〉 2030 NDC 상향안 분석(원전ㆍ석탄 이용률) 218

〈표 3-9〉 시나리오 1: 2040년 전원믹스 구성 220

〈표 3-10〉 시나리오 1: 2040년 온실가스 배출량(전환부문) 220

〈표 3-11〉 시나리오 1: 2040년 설비이용률 220

〈표 3-12〉 시나리오 2: 2040년 전원믹스 구성 221

〈표 3-13〉 시나리오 2: 2040년 온실가스 배출량(전환부문) 221

〈표 3-14〉 시나리오 2: 2040년 설비이용률 221

〈표 3-15〉 시나리오 3: 2040년 전원믹스 구성 222

〈표 3-16〉 시나리오 3: 2040년 온실가스 배출량(전환부문) 222

〈표 3-17〉 시나리오 3: 2040년 설비이용률 222

〈표 3-18〉 시나리오 4: 2040년 전원믹스 구성 223

〈표 3-19〉 시나리오 4: 2040년 온실가스 배출량(전환부문) 223

〈표 3-20〉 시나리오 4: 2040년 설비이용률 223

〈표 3-21〉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229

〈표 3-22〉 산업부문 내 주요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 230

〈표 3-23〉 주요국 산업 내 업종별 비중 231

〈표 3-24〉 산업부문 단계별 탄소중립 추진경로 237

〈표 3-25〉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방향 238

〈표 3-26〉 수송부문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242

〈표 3-27〉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 243

〈표 3-28〉 수송부문 2030 NDC 달성을 위한 감축정책 및 내용 244

〈표 3-29〉 탄소중립기본법의 주요 내용 245

〈표 3-30〉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의 주요 내용 246

〈표 3-31〉 국내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 249

〈표 3-32〉 국내 수소충전기 보급 현황(2021년 3월 말 현재) 249

〈표 3-33〉 전기 및 수소충전기 관련 주요 계획상 확충 목표 251

〈표 3-34〉 국내 전기자동차 차종별 현황(2021년 10월 기준) 252

〈표 3-35〉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 256

〈표 3-36〉 철도부문 국내 동향 257

〈표 3-37〉 수소기술 상용화 비전 258

〈표 3-38〉 철도부문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260

〈표 3-39〉 비전철 운행구간 261

〈표 3-40〉 사업계획서 평가항목 262

〈표 3-41〉 탄소배출권 거래제 항공부문 국내선 1, 2차 계획기간 배출량 265

〈표 3-42〉 장거리 기종 연료효율성 비교 267

〈표 3-43〉 바이오 항공유 공정에 따른 감축효과 270

〈표 3-44〉 기타 국내 적용 온실가스 감축 기술 272

〈표 3-45〉 물류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 및 추진방안 273

〈표 3-46〉 친환경 차량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연간 보급대수 추정 277

〈표 3-47〉 신규 화물차 구매 시 친환경차 구매비율 및 친환경차 보급목표 달성 필요대수 278

〈표 3-48〉 친환경 정책 성과지표 및 정책추진 고려사항 283

〈표 3-49〉 전략 및 추진과제 284

〈표 3-50〉 국내 해운부문 온실가스 발생량 286

〈표 3-51〉 국내 지역별 해운부문 온실가스 발생량 287

〈표 3-52〉 해양수산 분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88

〈표 3-53〉 해운부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위한 주요 정책방안 289

〈표 3-54〉 친환경선박 보급 확대방안 296

〈표 3-55〉 국내 관공선 현황(2020년) 297

〈표 3-56〉 에너지 효율 향상 부문에 해당하는 주요 실천과제 304

〈표 3-57〉 고효율 기기 보급, 수요관리 부문에 해당하는 주요 실천과제 304

〈표 3-58〉 스마트 에너지 관리 부문에 해당하는 주요 실천과제 305

〈표 3-59〉 건축물 에너지 소비행태 개선 부문에 해당하는 주요 실천과제 305

〈표 3-60〉 에너지 요구량ㆍ소요량ㆍ소비량 정의 314

〈표 3-61〉 정부의 그린리모델링 관련 주요 추진과제 및 사업 316

〈표 3-62〉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추진과제 및 사업 319

〈표 3-63〉 KfW에서 활용 중인 기준건축물 요구사항 321

〈표 3-64〉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331

〈표 3-65〉 농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량 전망 332

〈표 3-66〉 간단관개, 논물 얕게 대기(논물 걸러대기)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336

〈표 3-67〉 무경운/최소경운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337

〈표 3-68〉 녹비작물 재배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337

〈표 3-69〉 바이오차 기술 수용 의향이 없는 이유 338

〈표 3-70〉 시설재배 농가에서 온실가스 감축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340

〈표 3-71〉 축산농가에서 가축분뇨 처리시설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341

〈표 3-72〉 축산농가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지 않는 이유 342

〈표 3-73〉 축산농가에서 메탄저감 사료 급여 의향이 없는 이유 343

〈표 3-74〉 축산농가에서 적정단백질 사료 급여 의향이 없는 이유 344

〈표 3-75〉 저탄소농업 기술별 지원정책 추진현황(2020년) 346

〈표 3-76〉 농가규모별 지원정책 추진현황(2020년) 346

〈표 3-77〉 품목별 지원정책 추진현황(2020년) 347

〈표 3-78〉 감축량별 지원정책 추진현황(2020년) 348

〈표 3-79〉 사업참여 요인 349

〈표 3-80〉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참여 시 애로사항 350

〈표 3-81〉 배출권거래제 참여 시 애로사항 350

〈표 3-82〉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도 참여 시 애로사항 351

〈표 3-83〉 향후 지원사업 참여 의향 351

〈표 3-84〉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 연도별 재정투입 계획 352

〈표 3-85〉 연도별 재정투입 계획(농업에너지이용 효율화 사업) 353

〈표 3-86〉 농업에너지이용 효율화 사업 지원 실적 354

〈표 3-87〉 에너지 절감량 목표 및 달성 현황 354

〈표 3-88〉 신재생에너지의 잠재량 및 연간 발전환산량 356

〈표 3-89〉 도농 분리 시장잠재량 재추정 357

〈표 3-90〉 농업기반시설 태양광 설치 잠재량 358

〈표 3-91〉 농업ㆍ농촌 탄소중립 달성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358

〈표 3-92〉 농축산 가공 제조업(식료품 제조업)의 탄소중립 설비용량(최근 평년 기준) 359

〈표 3-93〉 농업에너지 소비감축 관련 사업 360

〈표 3-94〉 신재생에너지 및 절감시설별 에너지 절감비율 361

〈표 3-95〉 전기구동 농기계 세부 개발전략 362

〈표 3-96〉 농업ㆍ농촌 재생에너지 설치에 따른 이슈 366

〈표 3-97〉 탄소감축 프로그램 감축활동(안) 368

〈표 3-98〉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의 농업부문 적용현황과 문제점 진단 372

〈표 3-99〉 재생가능에너지 입지 갈등을 위한 법ㆍ제도 개선방안 374

〈표 3-100〉 어업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380

〈표 3-101〉 수산부문 탄소중립 로드맵 평가 전문가 조사 결과 384

〈표 3-102〉 수산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신규사업 전문가 조사 결과 389

〈표 3-103〉 수산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수용성 제고방안 전문가 조사 결과 393

〈표 3-104〉 우리나라 블루카본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s) 반영 여부 및 탄소 흡수계수(2022년 기준) 413

〈표 3-105〉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상 CCUS 부문 감축량 전망 423

〈표 3-106〉 영역별 주요 항만 장비 436

〈표 3-107〉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식 437

〈표 3-108〉 컨테이너 항만의 유류사용량 및 탄소배출량 438

〈표 3-109〉 비컨테이너 항만의 유류사용량 및 탄소배출량 438

〈표 3-110〉 컨테이너 항만의 전기사용량 및 탄소배출량 439

〈표 3-111〉 비컨테이너 항만의 전기사용량 및 탄소배출량 439

〈표 3-112〉 항만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종합 440

〈표 3-113〉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상 항만지역 배출원 현황 442

〈표 3-114〉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식 443

〈표 3-115〉 현장조사 결과 기반 항만별 배출량 산정 결과 443

〈표 3-116〉 우리나라 항만 유류사용 장비 현황 451

〈표 3-117〉 우리나라 항만 조명탑 현황 452

〈표 3-118〉 국내 상업운영 중인 해상풍력 현황 459

〈표 3-119〉 해상풍력단지 내 이격거리 현황 462

〈표 3-120〉 유럽 국가의 해상풍력단지 내 통항 제한 463

〈표 3-121〉 유럽 국가의 어선 수와 해역 면적 465

〈표 3-122〉 연도별 폐기물 종류별 발생 추이 473

〈표 3-123〉 폐기물의 연도별 발생량 및 처리방법 변화 474

〈표 3-124〉 폐기물 처리 주체별 처리현황(2019년) 475

〈표 3-125〉 NDC 계획 및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감축수단 목표 477

〈표 3-126〉 주요 폐기물 정책의 세부 정책수단 현황 478

〈표 3-127〉 폐기물 및 자원순환 관련 현안에 대한 다각도 분석 484

〈표 3-128〉 바이오플라스틱의 구분 및 활용 용도 494

〈표 3-129〉 가치상향형 순환성 위계에 따른 9R 전략 495

〈표 4-1〉 기후ㆍ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안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주요 내용 500

〈표 4-2〉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과 발전량(PPA 제외) 506

〈표 4-3〉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른 일일 증ㆍ감발량 분석 509

〈표 4-4〉 전력수요 대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율(최대 기준) 511

〈표 4-5〉 평상시 부하 예측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SCED 515

〈표 4-6〉 에너지부문 요금체계 521

〈표 4-7〉 2020년도 전력 판매량, 판매수입 및 판매단가 523

〈표 4-8〉 계시별 요금제 도입현황 524

〈표 4-9〉 주요 석유제품 가격구조 현황(2021년 7월 기준) 529

〈표 4-10〉 2009~2020년 연도별 전기 및 가스요금 원가회수율 530

〈표 4-11〉 총괄원가 보상방식의 장단점 531

〈표 4-12〉 보조서비스(Ancillary Service, SA) 관련 정산액과 거래비중 540

〈표 4-13〉 우리나라 에너지 관련 제세부담금 현황 554

〈표 4-14〉 PPP 적용 시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가격(2019년 4분기 기준) 556

〈표 4-15〉 PPP 적용 시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58

〈표 4-16〉 PPP 적용 시 OECD 회원국 경유 가격(2019년 4분기 기준) 561

〈표 4-17〉 탄소세 및 배출권거래제 도입현황(2020년 5월 기준) 564

〈표 4-18〉 국가 및 지역별 탄소가격체계 현황 565

〈표 4-19〉 탄소가격체계 시행 국가 및 지역 현황 567

〈표 4-20〉 부문별 탄소가격지표 571

〈표 4-21〉 우리나라의 탄소가격지표(2018년 기준) 572

〈표 4-22〉 EUR 60 기준 대비 부문별 탄소가격지표(2018년 기준) 572

〈표 4-23〉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비과세ㆍ감면 현황 578

〈표 4-24〉 친환경 노력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비과세ㆍ감면 현황 579

〈표 4-25〉 산업별 쇠퇴ㆍ유망 분야 593

〈표 4-26〉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산업전환의 방향 596

〈표 4-27〉 부처별 탄소중립 R&D 역점분야 602

〈표 4-28〉 2019년 10대 핵심기술에 대한 투자규모 603

〈표 4-29〉 (2022년 1월 기준) 현재 진행 중인 부처별 탄소중립 관련 주요 예비타당성 조사 603

〈표 4-30〉 미국 청정에너지 기술분야 연구개발 투자(안) 606

〈표 4-31〉 일본 탄소중립 관련 주요 14개 산업분야 607

〈표 4-32〉 탄소중립 관련 조직 및 역할 612

〈표 4-33〉 호주 온실가스 감축 기술투자 로드맵(사례) 614

〈표 4-34〉 세액공제 포함 탄소중립 기술 615

〈표 4-35〉 탄소중립 12개 후보기술 및 기술 정의 626

〈표 4-36〉 기술수준 관점의 탄소중립 후보기술 627

〈표 4-37〉 기술격차 관점의 탄소중립 후보기술 628

〈표 4-38〉 탄소중립 시나리오상 전원별 발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629

〈표 4-39〉 탄소중립 시나리오 비중 관점의 탄소중립 후보기술 629

〈표 4-40〉 탄소감축 기여도 관점의 탄소중립 후보기술 630

〈표 4-41〉 탄소중립 중점기술 평가 결과 631

〈표 4-42〉 수소제조 기술 분류 637

〈표 4-43〉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연도별 주요 목표 638

〈표 4-44〉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하 수소제조 관련 연도별 주요 목표 639

〈표 4-45〉 수소제조 기술 관련 기술격차 이슈 640

〈표 4-46〉 수소제조 기술 관련 특허분석 개요 640

〈표 4-47〉 기술 유형별 R&Dㆍ시설투자 세액공제율 642

〈표 4-48〉 수소제조 기술 관련 등록특허 보유 주요 기관 645

〈표 4-49〉 수소생산 중심 주요 국가 현황 647

〈표 4-50〉 주요국의 CCU 관련 정책 및 제도 현황 658

〈표 4-51〉 주요국의 CCUS R&D 전략 및 프로그램 659

〈표 5-1〉 거버넌스 단계별 역할의 비교 670

〈표 5-2〉 경제사회노동위원회 vs. 탄소중립위원회 671

〈표 5-3〉 Greener NHS의 사례 연구 682

〈표 5-4〉 소유권 관점에서의 공공보건의료기관 현황 695

〈표 5-5〉 건강생활지원실천금제도 '관리형' 모형의 기준과 인센티브 사례 699

〈표 5-6〉 2020년 지역별 온열질환 발생현황 701

〈표 5-7〉 수도권 지역의 WHO 초미세먼지 권고기준 달성 시 건강비용 편익 705

〈표 5-8〉 제9차 전략수급기본계획 기반 탈석탄 정책 추진 시 예방가능한 건강위험(경제성 시나리오) 706

〈표 5-9〉 친환경차 보급을 위한 재정소요 전망 721

〈표 5-10〉 전기 및 수소 충전소 확충 관련 검토항목 724

〈표 5-11〉 전기충전기 충전속도별 월평균 이용현황(2020.7-2021.6) 725

〈표 5-12〉 전기 및 수소 충전소 확충 여건 검토 728

〈표 5-13〉 화물부문 유가보조금 지급 추이 731

〈표 5-14〉 차종별 구매보조금 현황 736

〈표 5-15〉 승용차 기준 연료유형별 연간 연료비용 737

〈표 5-16〉 자동차 업종별 업체 수 및 종사자 수 738

〈표 5-17〉 유류세 부과 현황 739

〈표 5-18〉 현재 에너지세제와 외부비용 추정 741

〈표 5-19〉 국외 탄소세 및 배출권거래제 운영현황 744

〈표 5-20〉 배출권거래제 대상에 대한 탄소세 부과 746

〈표 5-21〉 스위스 탄소가격제도 참여 조건 747

〈표 5-22〉 국가별 세수활용 현황 753

〈표 5-23〉 실험그룹 구성 754

〈표 5-24〉 조사 개요 754

〈표 5-25〉 세수활용 방안에 따른 탄소세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755

〈표 5-26〉 탄소중립 리빙랩 시범사업 선정 기준 및 섬 지역 적용 결과 780

〈표 5-27〉 탄소중립 섬 리빙랩 공모사업 개요 785

〈표 5-28〉 탄소중립 섬 추진분야별 세부 사업 예시 787

〈표 6-1〉 주요 분야별 부처 간 연계 필요 사례 813

[그림 2-1] NDC에 명시된 감축목표 유형별 비중 66

[그림 2-2] NDC에 명시된 분야별 비중 66

[그림 2-3] NDC에 명시된 국내 감축분야 우선순위 66

[그림 2-4] 글로벌 기후재원 규모 74

[그림 2-5] 선진국이 제공 및 조성한 기후재원 규모 75

[그림 2-6] TCFD 권고안 프레임워크 79

[그림 2-7] SASB 프레임워크 79

[그림 2-8] 선진국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원 규모 및 목적 80

[그림 2-9] OECD DAC 회원국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1

[그림 2-10] OECD DAC 회원국 및 우리나라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비교: 지역별ㆍ분야별 82

[그림 2-11] 다자개발은행(MDBs)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3

[그림 2-12] 다자개발은행(MDBs)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역별ㆍ분야별 84

[그림 2-13] 다자기후기금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분석 85

[그림 2-14] 다자기후기금의 대개도국 기후재원: 지역별ㆍ분야별 86

[그림 2-15] 민간 기후재원 규모 및 기관별 비중 88

[그림 2-16] 재생에너지 투자 규모 및 기관별 투자비중 89

[그림 2-17] 재생에너지 투자 비교: 에너지원별ㆍ지역별 90

[그림 2-18] 민간 참여 재생에너지 투자 특징 91

[그림 2-19] 전 세계 지속가능성 관련 금융상품 발행 규모: 분석기관별 92

[그림 2-20] 전 세계 녹색채권 발행 비교: 지역별ㆍ분야별 93

[그림 2-21] 전 세계 및 우리나라의 기관별 녹색채권 발행 규모 및 비중 95

[그림 2-22] 우리나라의 사회책임투자 채권별 상장 잔액 및 신규 상장 규모 (2018~2021년 11월 11일) 96

[그림 2-23] GCCA+의 영역별 금융지원 비중 98

[그림 2-24] GCCA+의 주제별 금융지원 비중 99

[그림 2-25] Climate Investment Funds 구성 114

[그림 2-26] GCF 주요 공여국 현황 117

[그림 2-27] GEF 기금의 단계별 충원 규모 119

[그림 2-28] GEF 주요 공여국 현황(GEF 4~7기 누적 약정액 기준) 120

[그림 2-29] '주거 및 상업 건물' 분야 에너지 효율 실현을 위한 정책 영역ㆍ목표ㆍ비전 129

[그림 2-30] 유럽 지방정부의 정책 부문별 투자현황(2017-2019) 133

[그림 2-31] CNCA 회원 도시별 중ㆍ장기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 137

[그림 2-32] 포틀랜드 기후행동계획의 14개 실천방안 140

[그림 2-33] 포틀랜드 기후행동계획의 계획 부문과 20개 목표 141

[그림 2-34] 탄소가격제 도입현황 149

[그림 2-35] 탄소시장 접근 논의 경과 153

[그림 2-36] 청정개발체제(CDM) 거버넌스 구조 157

[그림 2-37]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절차 157

[그림 2-38]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지역별 분포 159

[그림 2-39] 청정개발체제(CDM) PoA 사업 지역별 분포 159

[그림 2-40] 일본 JCM 양자 협력체계 162

[그림 2-41] CGE 모형의 생산기술 구조: Nested CES 175

[그림 2-42] 시나리오별 글로벌 CO₂ 배출량 추이 179

[그림 2-43] 시나리오별 지역별 주요 지표 영향(2024-2049년, BAU 대비 %) 181

[그림 2-44] 2030 NDC 산업부문 감축목표 비교 182

[그림 2-45] 석탄화력 폐지 예정 지역 194

[그림 2-46] 해상풍력단지 예정 지역 194

[그림 2-47] 전환 역학 X 곡선 모형 199

[그림 2-48] 다층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전환 거버넌스 활동의 이해 200

[그림 2-49] 우리나라 탄소중립 추진체계 204

[그림 2-50] 우리나라 탄소중립 활성화 방향 접근체계 208

[그림 3-1] 한국 전력도매시장 구조의 현재와 미래 216

[그림 3-2]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경로 217

[그림 3-3]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2021.12.10) 224

[그림 3-4] 혁신전략 4대 과제별 추진일정(2021.12.10) 225

[그림 3-5] 혁신전략 실현 이정표(2021.12.10) 226

[그림 3-6] 주요국 온실가스 배출집약도 비교 233

[그림 3-7] 국내 제조업 업종별 탄소집약도 및 부가가치 233

[그림 3-8] 세부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구조 234

[그림 3-9] 제조업 내 산업 간 연계구조 235

[그림 3-10] 2020년 GDP 대비 수출액 비중 236

[그림 3-11] 2030년 및 2050년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243

[그림 3-12] 2030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실행방안 244

[그림 3-13]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247

[그림 3-14] 전기차 등록대수 현황 및 보급 계획 248

[그림 3-15] 국내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좌)과 수소전기차 및 충전소 구축 현황(우) 250

[그림 3-16]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교통수요관리 방안 253

[그림 3-17] 철도화물 수송 전환 보조금 255

[그림 3-18] 솔라 레일로드(Solar Railroad) 그린뉴딜 협력사업(예시) 256

[그림 3-19] 연속강하접근 vs 비연속강하접근 절차 비교 269

[그림 3-20] ICAO의 온실가스 저감노력을 반영한 국제항공의 예상 CO₂ 배출량 전망 270

[그림 3-21]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2018년) 274

[그림 3-22] 물류부문 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2018년) 274

[그림 3-23] 수단별 화물수송 실적(2010-2019년) 275

[그림 3-24] 물류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275

[그림 3-25] 친환경 차량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연간 보급대수 추정 277

[그림 3-26] 국내 수단별 화물수송 분담률 280

[그림 3-27] 화물부문 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280

[그림 3-28] 철도화물 수송분담률, 취급역, 정시율 281

[그림 3-29] 화물자동차 탄소배출 원단위(2013, 2018년) 282

[그림 3-30]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 2050 탄소중립 비전 및 목표 288

[그림 3-31] 독일의 Climate Action Plan 2050 부문별 목표 293

[그림 3-32] BEMS 개념도 308

[그림 3-33] 미국의 MCS 분석 결과 309

[그림 3-34] 일본의 건축물 에너지 효율 생애주기 관리 사례 318

[그림 3-35] 건물에너지 평가프로그램 ECO2 매뉴얼 318

[그림 3-36] 국토교통부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로드맵 320

[그림 3-37] 건물에너지 사용량 정보의 지도화 데이터 323

[그림 3-38] 건물부문 배출권거래제 개념과 운영방식 325

[그림 3-39] 농업ㆍ농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 비전과 목표 및 추진전략 330

[그림 3-40] 간단관개, 논물 얕게 대기(논물 걸러대기) 기술 사용 여부 335

[그림 3-41] 무경운/최소경운, 녹비작물 재배기술 사용 여부 336

[그림 3-42] 바이오차 기술 사용 의향 337

[그림 3-43] 논벼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38

[그림 3-44] 시설재배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별 사용 여부 339

[그림 3-45] 시설재배 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40

[그림 3-46] 퇴ㆍ액비, 바이오에너지 공동자원화 시설 사용 여부 341

[그림 3-47] 축산농가에서 반추가축에 양질의 조사료 급여 여부 342

[그림 3-48] 메탄저감 사료, 적정단백질 사료 급여 의향 여부 343

[그림 3-49] 축산농가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 344

[그림 3-50]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추진현황 345

[그림 3-51] 재생에너지 관련 계통한계가격과 공급인증서 가격변화 추이 365

[그림 3-52] 농업ㆍ농촌 에너지 전환 체계도 371

[그림 3-53] 수산업 부문별 주요 탄소배출원의 범위 378

[그림 3-54] 수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직접 배출량) 379

[그림 3-55] 연근해 어업 어선 척수 추이 379

[그림 3-56] 유종별 면세유 공급량 추이 379

[그림 3-57] 해양수산부 수산ㆍ어촌 탄소중립 이행 계획 381

[그림 3-58] 수산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안) 399

[그림 3-59] 전 세계 블루카본 생태계 분포 401

[그림 3-60] IPCC에서 탄소감축원으로 인정한 해안의 블루카본 생태계 402

[그림 3-61] 연안 식생을 통해 토양에 격리되는 탄소의 흐름을 나타낸 블루카본 모식도 403

[그림 3-62] 해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유기탄소 함량이 높은 유기토양(좌)과 유기탄소 함량이 낮은 광물토양(우)의 전형적인 모습 404

[그림 3-63] 열대림보다 30~50배 높은 탄소격리율을 보여주는 블루카본 생태계 405

[그림 3-64] 제1차 갯벌 등의 관리 및 복원에 관한 기본계획의 비전 및 추진전략 407

[그림 3-65] 블루카본 관련 전 세계 주요 연구 및 정책 흐름 410

[그림 3-66] 라이다(LiDar)를 이용해 염생식물 종류별 분포면적과 지상 생체량을 추정한 모습 411

[그림 3-67] 탄소흡수가 높은 건강한 블루카본 생태계(좌)와 탄소배출원이 된 황폐한 블루카본 생태계(우) 모식도 416

[그림 3-68] 제3차 녹색성장 5개년계획(2019~2023)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점과제 420

[그림 3-69]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구조 및 10대 추진과제 421

[그림 3-70] 2018년 대비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 총괄표 및 CCUS 개념도 422

[그림 3-71] 전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저장공간 규모 425

[그림 3-72] 미국 CCS 설비 현황 426

[그림 3-73] 유럽의 CCS 시설 현황 427

[그림 3-74] 영국의 CO₂ 배출원 및 CCS 저장시설 427

[그림 3-75] 노르웨이 Northern Lights 프로젝트 428

[그림 3-76] 컨테이너 항만 영역별 주요 장비 434

[그림 3-77] 전국항만위치도 435

[그림 3-78]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 비전 및 추진전략 441

[그림 3-79] LA항 LNG 야드 트랙터 444

[그림 3-80] LA/LB항 클린트럭 프로그램 스티커(샘플) 445

[그림 3-81] 로테르담항 CO₂ 배출 추이 446

[그림 3-82] 함부르크항 유로게이트 LED 조명 447

[그림 3-83] 톈진항 내 풍력발전 시설 448

[그림 3-84] 부산항 LNG 야드 트랙터 449

[그림 3-85] e-RTGC 개조 도면 450

[그림 3-86] 광양항 e-RTGC 도입 모습 450

[그림 3-87] 항만분야 탄소중립 시점 추정(예) 453

[그림 3-88] 미국 주별 해상풍력발전 목표량(좌), 미 북동부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우) 456

[그림 3-89] 2021~2025년 미국 BOEM 해상풍력 발전지구 임대계획 457

[그림 3-90] 국내 상업운영 중인 해상풍력 전경 460

[그림 3-91] 풍력발전기 규모의 발전 461

[그림 3-92] 해상풍력단지와 선박통항로 사례 464

[그림 3-93] 해상풍력발전기 위치의 변화(수심과 해안에서의 거리) 467

[그림 3-94] 지구 곡률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 조망가능 범위 467

[그림 3-95] 영국 Round 4 계획 입지와 미국의 풍력발전 임대구역 468

[그림 3-96] 끄는 어구의 종류 470

[그림 3-97] 정치망과 낚시 어구의 종류 470

[그림 3-98]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2010-2019년) 475

[그림 3-99] 선형, 재사용, 순환경제 480

[그림 3-100] 국내 순환경제 관련 계획들의 추진체계 현황 489

[그림 3-101] 중장기 대응방향 및 추진체계 방향(원문불량) 490

[그림 3-102]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전환적 대응방향(원문불량) 497

[그림 4-1] 일본의 2030년 에너지 수요 및 1차 에너지 공급 전망 501

[그림 4-2] 한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에너지 계획 502

[그림 4-3]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른 주요 과제 504

[그림 4-4] 제주도 출력제한 현황 505

[그림 4-5] 제주도와 육지의 전력수요 패턴 비교 507

[그림 4-6] 재생에너지 비율에 따른 월별 출력제한 분석 508

[그림 4-7] 계절별 대표 월의 수급불균형 비교 508

[그림 4-8] 인버터 기반 재생에너지 확대의 영향 510

[그림 4-9] 재생에너지 비중에 따른 분야별 대응 512

[그림 4-10]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용한 최종전력소비 부문의 탈탄소화 518

[그림 4-11] 그린에너지 통합시스템 구상도 519

[그림 4-12] 공공요금 결정과정 521

[그림 4-13] 총괄원가 산정방식 522

[그림 4-14] 현행 및 개선 전기요금체계 524

[그림 4-15] 도시가스요금 구조 525

[그림 4-16] 지역난방 열요금 조정절차 526

[그림 4-17] 열요금 체계 527

[그림 4-18] 석유제품의 가격결정 과정 528

[그림 4-19] 에너지 가격체계의 중장기 방향성 533

[그림 4-20] 전력산업 구조도 535

[그림 4-21] 하루 중 시간대별 부하 패턴과 발전원별 도매시장 가격결정(예시) 535

[그림 4-22] 제약발전 전력량 정산금(CON)과 제약비발전 전력량 정산금(COFF) 537

[그림 4-23] 전력 도매시장에서 정산조정계수를 적용한 발전사업자의 수익조정 538

[그림 4-24] 전력 도매시장의 운영절차 539

[그림 4-25] 섹터커플링(Sector Coupling) 개념 및 에너지 부문별 연계 547

[그림 4-26]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가격 및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55

[그림 4-27] OECD 각국의 무연휘발유 세율(2020년 2분기 평균 기준) 557

[그림 4-28] OECD 회원국 무연휘발유 가격 대비 세율 비중(2020년 2분기 기준) 559

[그림 4-29] OECD 회원국의 자동차용 경유 가격 및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60

[그림 4-30] OECD 회원국의 비상업용 자동차 경유 세율(2020년 2분기 기준) 562

[그림 4-31] OECD 회원국 경유 가격 대비 세율 비중(2020년 2분기 기준) 563

[그림 4-32] 최근 에너지세제 관련 비과세ㆍ감면제도 규모 추이 580

[그림 4-33] 철강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5

[그림 4-34] 화학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6

[그림 4-35] 자동차 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89

[그림 4-36] 조선산업의 구조변화 전망 590

[그림 4-37] 제조업 이산화탄소 배출요인 분해 592

[그림 4-38] 탄소중립 선언 현황 599

[그림 4-39] 기술혁신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 시나리오 전망(2019~2070년) 600

[그림 4-40]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안) 604

[그림 4-41] 탄소중립 혁신기술 개발사업 비전 및 목표 605

[그림 4-43] 호주 기술투자 로드맵에서의 기관별 투자 할당량 614

[그림 4-44] 그랜드 컨소시엄 중심의 기술개발 성과 공유 616

[그림 4-45]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619

[그림 4-46] 상용화 주기를 줄일 수 있는 '단축 달리기' 플랫폼 주요 내용 620

[그림 4-47] 탄소중립 R&D 10대 핵심투자 분야 621

[그림 4-48]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 개발전략 622

[그림 4-49] 탄소중립 R&D 중점기술별 대표기술 623

[그림 4-50] 8대 분야 에너지 핵심기술 예시 624

[그림 4-51] 부처별 탄소중립 혁신전략과 중점기술 625

[그림 4-52] 수소제조 관련 특허등록 추이(2000~2021년) 641

[그림 4-53] 수소제조 관련 출원인 국별 등록특허 비중(좌) 및 국내 관련 특허의 특허경쟁력(우) 642

[그림 4-54] 국가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기술경쟁력에 따른 전략 유형화 644

[그림 4-55] CO₂ 포집기술 개념도 649

[그림 4-56] CO₂ 화학전환 기술 개념도 649

[그림 4-57] CO₂ 생물전환 기술 개념도 650

[그림 4-58] CO₂ 광물탄산화 기술 개념도 650

[그림 4-59] 기타탄소 활용기술 개념도 650

[그림 4-60]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 비전 및 목표 651

[그림 4-61] CCUS 기술 개념도 및 CCU 로드맵 범위 652

[그림 4-62] CCUS 기술개발 전략 653

[그림 4-63] 해외 CCU 활용 탄소중립 시나리오 656

[그림 5-1] 독일 탈석탄위원회 구성 666

[그림 5-2] 중층적 거버넌스 예시 669

[그림 5-3]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의 기후변화-건강영향 관련 주요 이슈 672

[그림 5-4] 국가 탄소중립 전략 675

[그림 5-5] 미국 보건복지부의 기후변화 및 건강 형평성 문제 정의 680

[그림 5-6] NHS 직ㆍ간접 활동범위(carbon footprint + carbon footprint Plus)별 탄소배출량 683

[그림 5-7] NHS의 온실가스 프로토콜 범위 683

[그림 5-8] 위해 없는 보건의료(Health Care Without Harm)의 국제활동 690

[그림 5-9] 건강보장체계: 포괄범위와 하위 대응체계의 설정 693

[그림 5-10] 보편적 건강보장(UHC) 큐브 694

[그림 5-11]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위험과 건강보험의 보장 영역 703

[그림 5-12] 기후변화 대응의 구분 707

[그림 5-13] NIEHS의 보건의료 계열 대학생 대상 교육자료 예시 714

[그림 5-14] NIEHS의 기후변화와 건강 관련 문헌 포털 715

[그림 5-15] 친환경 자동차 보급대수 전망 720

[그림 5-16] 전국 전기충전소(좌) 및 수소충전소(우) 현황 725

[그림 5-17] 수소충전소 개념(좌) 및 수소충전소 설치 반대 현수막 모습(우) 727

[그림 5-18]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도로화물 수송수단 전환 732

[그림 5-19] 친환경 철도화물 운송체계 경쟁력 강화 733

[그림 5-20] 물류ㆍ화주기업의 ESG 경영체제 구축 735

[그림 5-21] 장래 교통세수 부족분 추정 결과 740

[그림 5-22] 교통에너지환경세 징수액과 국세 대비 비중 변화 742

[그림 5-23] 시점별 최적 탄소가격제도 748

[그림 5-24] 세수 활용방안의 정책효과 756

[그림 5-25] 정보제공 이후 탄소세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757

[그림 5-26] 세수 활용방안별 정보제공의 효과 758

[그림 5-27] 장기효과 759

[그림 5-28] 리빙랩의 공통 속성 762

[그림 5-29] 사회ㆍ기술 시스템 전환과 리빙랩 763

[그림 5-30] 성대골 에너지 전환 리빙랩 768

[그림 5-31] 3단계 스케일업 방식의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770

[그림 5-32] '저탄소밥상' 팀의 '풀씨' 활동 결과: 서울시청 주 1회 채식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771

[그림 5-33] '저탄소밥상' 팀의 '풀꽃' 프로젝트 결과: 개인 맞춤형 저탄소 식생활 코칭 프로그램 앱('THE하기') 개발 772

[그림 5-34] 어류 부산물의 발생 773

[그림 5-35] 비토스 리빙랩의 어류 부산물 가치사슬 774

[그림 5-36] ENERGISE 리빙랩 기본 설계 776

[그림 5-37] ENERGISE 리빙랩 난방 챌린지(좌)와 세탁 챌린지 키트(우)(스위스) 777

[그림 5-38] 포커스 그룹 토의(좌: 핀란드, 우: 헝가리) 777

[그림 5-39] 국가별 난방 챌린지 이전 및 챌린지 기간 동안의 침실온도 비교 778

[그림 5-40] 국가별 세탁 챌린지 이전, 직후 및 챌린지 종료 3개월 후 주당 세탁 횟수 비교 778

[그림 5-41] 임무지향적 혁신정책 개념도(예시): 2038년까지 맨체스터 지역의 탄소중립도시지역 실현 783

[그림 5-42] 탄소중립 섬 리빙랩 공모사업 추진방향 785

[그림 5-43] 주민들이 만든 마을 공유 비전 및 마을 자원 지도: 창원시 교방동 마을리빙랩 사례 787

[그림 6-1] 네덜란드 에너지 전환 플랫폼과 통합 거버넌스 812

[그림 6-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통합적 거버넌스 체계 816

[그림 6-3] 지역화 모델 추진전략: 지역 간 확산, 규모화 818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탄소중립 #기후변화 #온실가스감축 #탄소가격제 #에너지전환 #에너지전략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