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1. 서론 3
1. 기후변화와 국제사회의 대응 3
2.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배경 4
2. EU 탄소국경조정제도 8
1. 개요 8
2.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 추진 경과 8
3. EU 의회 채택 수정안('22년 6월) 11
4. 3자 합의 주요내용('22년 11월) 11
5. 입법기관별 제시안 주요내용 비교 13
6. 주요국 반응 15
7. 정치ㆍ경제적 쟁점 16
3. 대응현황 및 시사점 19
1. 국내 대응 현황 19
2. 국내 제도 정비 방향 20
3. 국내 산업계 대응 방안 23
[붙임 1]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 26
[붙임 2]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과 EU의회 수정안 비교 30
[붙임 3] EU 이사회안과 EU의회 채택안 비교 32
[붙임 4] 탄소국경조정제도 의무 조정량 산정 방안 및 미 이행시 불이익 33
[붙임 5] 제품에 내재된 배출량 계산 방법 34
[붙임 6] EU 입법절차 36
[붙임 7] 참고자료 37
[표 1] 주요국의 온실가스 국가 감축목표 4
[표 2] 주요국의 국가 감축 부문 요약 5
[표 3] 탄소국경조정의 유형별 장단점 6
[표 4] EU 입법 관련 기관별 탄소국경조정제도 주요내용 관련 입장 13
[표 5]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 주요내용 27
[표 6] 집행위원회 입법안과 의회 수정안의 비교 31
[표 7] EU 이사회안과 EU의회 채택안 비교 32
[그림 1] 5개 지구 온도 데이터에 대한 산업화 이전(1850~1900년)과의 전 세계 연평균온도 차 3
[그림 2]/[그림 3] EU의 'Fit for 55' 개요 9
[그림 3]/[그림 4]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 추진 경과 10
[그림 4]/[그림 5] 탄소중립 표준화 아이템 150종 19
[그림 5]/[그림 7] 탄소국경조정제도 의무이행량 및 조정량 산정방법 33
[그림 6]/[그림 8] 단순재화(simple goods) 배출량 산정방식 34
[그림 7]/[그림 9] 복잡재화(complex goods) 배출량 산정방식 34
[그림 8]/[그림 10] 복잡재화(complex goods) 배출량 산정 시 원재료의 배출량 산정방식 34
[그림 9]/[그림 11]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절차 및 현황 3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