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해외환경정책동향. 2022-01호, 탄소중립시대 핵심 광물

[참고 자료] The Role of Critical Minerals in Clean Energy Transition / 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 

목차

표제지

목차

정책동향 3

01. 탄소중립시대 핵심광물과 확보전략 / 고상모 3

1. 주요 핵심광물 3

2. 핵심광물의 활용분야 5

3. 핵심광물의 분포, 매장량 및 생산 현황 9

4. 주요 국가의 핵심광물 확보 방안 및 정책 동향 14

5. 시사점 16

참고문헌 19

02. 미-중 패권 경쟁과 희토류 공급망 문제 / 이진영 21

1. 미-중 패권 경쟁과 희토류 21

2. 희토류 생산의 환경적 이슈와 대응 전략 25

참고문헌 28

03. 탄소중립시대 순환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도시광산의 재활용 / 김수경 29

1. 탄소중립시대의 도시광산 29

2. 국내 주요 광물의 재활용 현황 31

3. 국외 도시광산 재활용 현황 35

4. 도시광산의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사회 구축 39

참고문헌 41

IEA보고서 요약 43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핵심광물의 역할 / 신중민 43

1. 청정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안보 43

2. 지속가능한 광물자원의 개발 46

판권기 2

01. 탄소중립시대 핵심광물과 확보전략 / 고상모 10

〈표 1〉 세계 희토류 자원의 생산량 및 매장량 10

〈표 2〉 세계 리튬 자원의 생산량 및 매장량 11

〈표 3〉 세계 바나듐 자원의 광산 생산량 및 매장량 14

02. 미-중 패권 경쟁과 희토류 공급망 문제 / 이진영 22

〈표 1〉 대표적인 희토류 광석의 종류 및 특성 22

〈표 2〉 희토류 원소별 사용 분야 24

03. 탄소중립시대 순환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도시광산의 재활용 / 김수경 30

〈표 1〉 2050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시대의 6대 핵심광물 30

〈표 2〉 국내 도시광산 재활용 주요 업체 31

〈표 3〉 국외 도시광산 재활용 주요 업체 35

〈표 4〉 변경된 EU WEEE 지침 6개 범주의 대상제품 범위 37

01. 탄소중립시대 핵심광물과 확보전략 / 고상모 4

[그림 1] 시나리오별 청정에너지 부문 광물 수요 전망 4

[그림 2] 희토류 금속 및 산화물의 용도 5

[그림 3] 2019년 희토류의 물량기준(A) 및 가격기준(B) 용도별 활용비율 6

[그림 4] 리튬 금속 및 화합물별 활용도 7

[그림 5] 리튬 용도별 수요 추이 7

[그림 6] 바나듐 수요 추이 8

[그림 7] 희토류 광상의 분포 9

[그림 8] 연도별ㆍ국가별 희토류 생산량 추이 11

[그림 9] 권역별 리튬 매장량 및 생산량 현황 12

[그림 10] 바나듐의 공급원과 활용 흐름도 13

[그림 11] 세계 바나듐 광상 분포 13

[그림 12] 희토류 공급망 구조 16

[그림 13] 리튬 공급망 구조 17

02. 미-중 패권 경쟁과 희토류 공급망 문제 / 이진영 23

[그림 1] 국가별 희토류 부존량 및 생산량(2018년 기준) 23

[그림 2] 희토류 광석으로부터 첨단소재를 제조하는 과정 23

03. 탄소중립시대 순환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도시광산의 재활용 / 김수경 32

[그림 1] 재활용 가능한 도시광산 제품과 주요 추출 금속 32

[그림 2] 텀블러 사용을 통한 플라스틱프리챌린지인 'No more Plastic Island'에 참여한 사람들 40

해시태그

#탄소중립 # 미중패권경쟁 # 순환경제 # 핵심광물 # 희토류공급망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해외환경정책동향. 2022-01호, 탄소중립시대 핵심 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