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한 도시교통관리 방향 :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지하도로 중심으로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 개요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20

02. 장래 교통 여건 변화와 정책 현황 21

1. 미래 교통수단의 다양화 22

2.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전망 29

3. 서울시 자율주행자동차 교통정책 34

03.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인프라 확충 방향 36

1. 시민의식 조사 37

2. 통행시간 가치 및 통행량 변화 전망 42

3. 도로 인프라 확충 방향 46

04.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분석 53

1. 네트워크 분석 개요 54

2. 네트워크 수송 용량 분석 57

3. 교통수단 간 통행시간 비교 71

4. 네트워크 공사비 추정 73

5. 미래 네트워크 개념도 74

05. 미래의 교통관리 방향 82

1. 다양한 수단 간 연계 83

2. 다양한 수단의 통합관리 87

3. 교통 인프라 공간 활용 효율화 92

06. 결론 및 정책 제언 98

참고문헌 101

[부록] 설문조사 103

Abstract 113

판권기 116

[표 1-1] 서울시 장래 인구 수 및 1인 가구 추이 16

[표 1-2] 서울시 관련 통행량 변화 17

[표 1-3] 서울시 내부통행 이동거리 변화 17

[표 1-4] 우리나라 친환경 차량 보급 전망 18

[표 1-5] 자율주행자동차 및 UAM 전망 19

[표 2-1] 현 교통수단별 기능적 역할 22

[표 2-2] 국외 주요 UAM 기체 개발 현황 23

[표 2-3] 국내 DRT 서비스 운영 사례 27

[표 2-4] 자율주행자동차 발전 단계 29

[표 2-5] 주요국의 제조사별 자율주행 기술 및 제도 비교 30

[표 2-6] 자율주행을 고려한 물리적 인프라 설계 요소 31

[표 2-7] 자율주행 도로 인프라 기능 32

[표 2-8] 자율주행자동차 도로 인프라 단계별 추진 효과 33

[표 2-9] 서울시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 지구 지정 구역 34

[표 2-10] 서울시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계획 35

[표 3-1] 설문조사 개요 37

[표 3-2] 자율주행자동차 미도입 시 전체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2

[표 3-3] 자율주행자동차 미도입 시 서울-서울 통행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2

[표 3-4] 자율주행자동차 미도입 시 경기/인천-서울 통행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3

[표 3-5]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시 전체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3

[표 3-6]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시 서울-서울 통행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3

[표 3-7]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시 경기/인천-서울 통행 표본 대상 모형 계수 추정 43

[표 3-8]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전후 수단별 통행시간 가치 추정 결과 44

[표 3-9]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전후 수단분담률 변화 추정 44

[표 3-10] 서울시 도로 현황 47

[표 3-11] 서울시 도로 폭원별 추이 47

[표 3-12] 지상부 도로로 인한 환경 저해 48

[표 3-13] 서울시 U-스마트웨이 계획 49

[표 3-14] 보링컴퍼니 사업 내용 52

[표 4-1] 서울시 기초 통계 변화 54

[표 4-2] 서울시 주요 도로별 통행속도 변화 55

[표 4-3] 네트워크 전제 사항 58

[표 4-4] 통행시간 함수 그래프 60

[표 4-5] 링크 유형별 파라미터 추정 그래프 62

[표 4-6] 링크 유형별 파라미터 추정치 62

[표 4-7] 네트워크의 수송 용량 분석 63

[표 4-8] 링크 유형별, 운행차량별 통행시간 함수(BPR 함수) 용량 및 파라미터 64

[표 4-9] 시나리오 1 전제 사항 64

[표 4-10]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네트워크 수송 용량 비교 (V/C 기준) 65

[표 4-11]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총 통행시간 비교 (교통량 기준) 65

[표 4-12]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총 교통량 비교 (통행시간 기준) 65

[표 4-13] 교통존 재구성 예시 66

[표 4-14] 자치구별 분석 교통존 현황 67

[표 4-15] 균일분포 O/D와 실제 지역분포 반영 O/D 비교 68

[표 4-16] 시나리오 2 전제 사항 69

[표 4-17]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네트워크 수송 용량 비교 (V/C 기준) 69

[표 4-18]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총 통행시간 비교 (교통량 기준) 70

[표 4-19] 일반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 총 교통량 비교 (통행시간 기준) 70

[표 4-20] 수단별 통행시간 비교 71

[표 4-21] 자율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통행시간 추정 결과 72

[표 4-22] 자율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개략 공사비 73

[표 4-23] 미래 자율주행자동차 전용도로 조감도 설명 75

[표 5-1]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주요 기능 및 구축 방향 84

[표 5-2] 민간이 추진할 수 있는 MaaS 유형(안) 86

[표 5-3] 기관별 교통관제 현황 비교 87

[표 5-4] 입체도로 관련 규정 95

[표 5-5] 지상부 도로공간 활용방안 96

[표 5-6]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4대 신성장 혁신 축 및 모빌리티 허브 개념 97

[그림 1-1] 서울시 교통관리 정책 변화 15

[그림 1-2] 미세먼지 배출원별 및 지역별 분포 17

[그림 1-3] 연구 주요 내용 20

[그림 2-1] 국가별 eVTOL 개발 기업 수 23

[그림 2-2] 현대건설이 제안한 한국형 버티포트 콘셉트 24

[그림 2-3] 버진하이퍼루프원의 네바다 사막 시험 튜브 25

[그림 2-4] 수요 응답 유형별 대중교통 서비스 분류 26

[그림 2-5] 자율주행 대중교통 체계 전환 방향 27

[그림 2-6] PBV(Purpose Built Vehicle) 28

[그림 3-1] 서울-서울 수단별 평균 통행시간 및 비용 38

[그림 3-2] 서울-서울 수단별 통행시간 및 비용 분포 39

[그림 3-3] 경기/인천-서울 수단별 평균 통행시간 및 비용 39

[그림 3-4] 경기/인천-서울 수단별 통행시간 및 비용 분포 40

[그림 3-5] 서울-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이용 의향 40

[그림 3-6] 경기/인천-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이용 의향 41

[그림 3-7] 도로 인프라 공급방안 46

[그림 3-8] 자율주행자동차 전용도로 해외 사례 50

[그림 3-9] 국내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단지 '케이-시티' 조감도 51

[그림 3-10] LVCC 루프 시스템 51

[그림 4-1] 서울시 주요 도로 교통량(2021년 기준) 54

[그림 4-2] 자율주행 전용 가상 네트워크 56

[그림 4-3]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분석 방법 56

[그림 4-4] 링크/교차로 전제 사항 57

[그림 4-5] 본 연구에서 적용한 VISSIM 입력변수 58

[그림 4-6] 자율차 전용 승하차 정류장 네트워크 59

[그림 4-7] 자율주행자동차 비신호 교차로 59

[그림 4-8] 미시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예시 61

[그림 4-9] 서울시 OD 분포 반영을 위한 노선대 및 교통존 위치 67

[그림 4-10] 서울시 승용차 O/D 분포 (서울시 내부, 발생량 기준) 68

[그림 4-11]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개념도 76

[그림 4-12]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 교차로 개념도 77

[그림 4-13] 자율주행자동차 정류장 개념도 78

[그림 4-14] 모빌리티 허브 개념도 79

[그림 4-15] 도시철도-자율주행자동차 연계 개념도 80

[그림 4-16] 버스-자율주행자동차 연계 개념도 81

[그림 5-1] 「서울비전 2030」,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의 모빌리티 허브 관련 발표 83

[그림 5-2] 모빌리티 허브 거점별 유형 개념도 84

[그림 5-3] 미래 교통 시스템의 변화 전망 85

[그림 5-4] 서울의 미래 교통수단 연계 정책 방향 86

[그림 5-5] 교통수단별 운영 주체 88

[그림 5-6] 미래 모빌리티와 관련한 TOPIS의 역할 89

[그림 5-7] MaaS와 관련한 TOPIS의 역할 90

[그림 5-8] TOPIS 확대 발전 방향 91

[그림 5-9] 스위스 CST 프로젝트 92

[그림 5-10] 싱가포르 지하 과학 도시 개념도 93

[그림 5-11] 캐나다 레조(RESO) 지하도로 93

[그림 5-12] 프랑스 라데팡스 거리 94

[그림 5-13] 영동대로 복합개발 94

[그림 5-14] 입체도로 제도 개념 95

[그림 5-15] 지하공간을 활용한 물류시설 복합개발 개념 97

해시태그

#교통수단 #자율주행차 #교통인프라 #교통정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