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대 국회는 2020년 5월 개원해 지난달 1일까지 총 2,877건의 법안을 통과시킴. 이 중 경제·산업 영역 법안이 765건(27%)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안전(368건·13%), 인권·참여(350건·12%) 법안이 뒤를 이었음. 복지돌봄(196건) 분야는 7%, 지방자치(153건), 고용·노동(144건), 문화·예술(130건) 분야 통과 법안은 각각 5% 안팎으로 비중이 작았음

□ 이번 연구는 국민의 삶의 질을 국제 비교 관점에서 9개 영역 36개 지표로 나누어 9점 척도로 평가함. 평가 결과 ▲경제산업(5.7), ▲교육과학기술(5.8), ▲안전/건강(5.8), ▲주거/교통 (5.0) 영역은 상대적으로 평가점수가 높았으며, ▲고용/노동(2.4), ▲문화/예술(3.0), ▲복지/ 돌봄(3.8), ▲인권/참여(4.0), ▲기후환경(4.0) 영역은 4점 이하로 평가됨. 보고서는 21대 국회의 입법활동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현황이 양호한 영역에서 오히려 많은 법안이 통과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 상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법안의 개수 사이에 우선순위의 불일치가 존재한다고 평가함
[출처] '21대 국회 법안 통과 경제분야 편중…복지·노동·문화는 적어' (2024.03.19.) / 연합뉴스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16
2. 연구의 목적 18
3. 연구내용 및 방법 18
Ⅱ. 본론 21
1. 연구의 분석틀 22
2. 압력(P)과 현황(S) 분석 49
3. 대응(R) 분석 80
1) 분석 방법 80
2) 분석 결과 81
3) 소결 88
4. 21대 국회 전반기(2020년-2022년) 입법 평가 91
Ⅲ. 결론 및 정책적 제언 97
참고문헌 101
〈표 1〉 국민의 행복을 측정하는 다양한 국제기구/국가/도시의 노력들 22
〈표 2〉 OECD 사회지표 PSR 모델 28
〈표 3〉 입법평가를 위한 분석틀과 지표 34
〈표 4〉/〈표 5〉 상황/성과에 대한 현황 52
〈표 5〉/〈표 6〉 영역별 가결 통과 법안 수 및 상태 9점 척도 현황 81
〈표 6〉/〈표 7〉 영역별 규제법안 및 지원법안 수 현황 82
〈표 7〉/〈표 8〉 영역별 가결 통과 법안의 대상별 수 현황 83
〈표 8〉/〈표 9〉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별 의석 및 정당별 1인당 대표 발의 법안 수 비교 84
〈표 9〉/〈표 10〉 가결 통과 법안 기준, 당선 횟수별 의석수 및 1인당 대표 발의 법안 수 85
〈표 10〉/〈표 11〉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지역구별 의원 1인당 대표 발의 법안 수 86
〈표 11〉/〈표 12〉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 및 정부 영역별 발의 법안 수 87
〈표 12〉/〈표 13〉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 및 정부발의 규제법안과 지원법안의 수 87
〈표 13〉/〈표 14〉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의원 성별에 따른 영역별 발의 법안 수 88
〈그림 1〉 2019년 주요 국가 국민의 행복도 16
〈그림 2〉 단일 지수 방식의 예: 행복지수 25
〈그림 3〉 핀란드의 GDP와 GPI(참성장지표) 26
〈그림 4〉 PSR 모델 27
〈그림 5〉 현대 핵심적인 압력 요인들 29
〈그림 6〉 1970년대부터 2020년까지 경제성장률의 변화 30
〈그림 7〉 IPOEO 프레임워크 41
〈그림 8〉 1960년대부터 2022년까지 경제성장률의 변화율 49
〈그림 9〉 1985년대부터 2022년까지 다요소생산성 증가율 50
〈그림 10〉 1960년대부터 2022년까지 노령화율의 변화(근로연령대비 노령층) 50
〈그림 11〉 1880년대부터 2020년까지 세계 육지-해양 온도의 변화 51
〈그림 12〉 21대 국회 전반기 가결 통과 법안 영역별 분류 81
〈그림 13〉 영역별 규제법안 및 지원법안 분포 비율 비교 82
〈그림 14〉 영역별 가결 통과 법안의 대상별 분포 비율 비교 83
〈그림 15〉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별 1인당 대표 발의 법안 비교 84
〈그림 16〉 가결 통과 법안 기준, 당선 횟수별 1인당 대표 발의 법안 수 85
〈그림 17〉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지역구별 의원 1인당 대표 발의 비교 86
〈그림 18〉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 및 정부 영역별 발의 법안 분포 86
〈그림 19〉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정당 및 정부발의 규제법안과 지원법안의 비율 87
〈그림 20〉 가결 통과 법안 기준, 의원 성별에 따른 발의 법안 영역 분포 88
〈그림 21〉 영역별 현황과 대응 점수 비교 94
〈그림 22〉 21대 국회 초반 입법 활동 PSR 분석 9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입법 및 의정활동 효과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