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OECD 국가의 주택자산 불평등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는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자산불평등의 실태, 불평등과 주택자산의 관계, 최근 주택 가격 상승의 배경이 된 주택금융화 현상에 대해 소개한 후 자산불평등의 관점에서 주택정책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주택정책에 있어서는 주택자산이 중산층의 자산 축적수단이라는 현실을 인정해야 하지만 동시에 과도한 금융화를 제약함으로써 주택시장을 안정화하는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01. 논의의 배경 4

02. 자산불평등 악화와 주택자산 5

1. 글로벌 경제에서 자산불평등 추이 5

2. 주택자산과 자산불평등의 관계 6

03. 주택가격 상승 원인에 대한 최근 연구 10

04. 자산불평등 관점에서 주택정책에의 시사점 13

참고문헌 15

판권기 2

표 1. 세계 주요국 자산불평등: 지니계수와 상위 1% 집중도 6

그림 1. OECD 각국의 계층별 자산집중도와 2010년 이후의 변화 5

그림 2. 미ㆍ영ㆍ프 자산-소득 배율 추이: 주택자산과 비주택자산 분해 7

그림 3. OECD 국가의 주택소유율과 상위 10% 순자산 보유 비중 8

그림 4. 선진국 14개국의 주택가격 장기 추이 10

그림 5. OECD 국가의 가계부채에서 주택 모기지 대출의 비중 11

해시태그

#주택자산 # 주택가격 # 주택정책 # 주택시장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OECD 국가의 주택자산 불평등과 정책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