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정책 거버넌스의 변동 분석은 거버넌스 설계와 관리의 두 가지 부문으로 구성하였고, 설계부문은 정책과 구조, 관리 부문은 행위자 참여와 수단으로 구분하였다.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 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요약된다.
1. 일본은 지난 20여 년간 국가 차원에서 내각(정권)간 정책 연속성이 관측됨
2. 최근 10여 년간 국가 차원의 성장전략-혁신정책-기술사업 간 연계성을 강화함
3. 행정개혁을 계기로 내각부/내각관방 중심의 국가 전략기획 상위체계를 확대 및 강화함
4. 내각부/내각관방 주도의 국가 전략기획은 횡단형 보좌기구 및 인재운영을 통해 운영됨
5. 횡단적 정책회의체의 확대는 민-관 협업 및 전문가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 시스템을 확립함
6. CSTI 권한 확대로 기획배분형 정책수단인 임무사업의 직접관리 역할이 증가함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Ⅰ. 혁신정책 거버넌스: 방향과 관점 9
1. 배경과 쟁점 9
2. 일본의 과학기술혁신 현황과 분석 질문 10
3. 메타거버넌스와 혁신정책 거버넌스의 이론적 근거 12
4. 분석구성 14
Ⅱ. 일본 혁신정책 거버넌스 설계부문 분석 17
1. 혁신정책 거버넌스 설계 변동과 특징 17
2. 정책 설계 부문 분석결과 18
3. 구조 설계 부문 분석결과 22
Ⅲ. 일본 혁신정책 거버넌스 관리부문 분석 26
1. 혁신정책 거버넌스 관리 변동과 특징 26
2. 행위자 참여 부문 분석결과 27
3. 관리수단 부문 분석결과 30
Ⅳ. 분석종합 및 한국에의 시사점 34
1. 분석종합 34
2. 한국 혁신정책 거버넌스의 시사점 37
참고문헌 42
Summary 46
판권기 53
〈표 1〉 다층적거버넌스 접근 13
〈표 2〉 메타거버넌스 상호작용의 두 가지 축 14
〈표 3〉 혁신정책 거버넌스 정책 및 구조 설계 분석 주요내용 15
〈표 4〉 혁신정책 거버넌스 관리 분석 주요내용 16
〈표 5〉 정권별 주요 국가 성장전략과 혁신정책 수립 현황('00~'24) 19
〈표 6〉 주요 국가 성장전략과 혁신정책 간의 상호연계성('06~'24) 20
〈표 7〉 핵심기술별 혁신전략 21
〈표 8〉 내각관방 부장관보실 분실(分室) 설치 추이 24
〈표 9〉 국가 성장전략 및 과학기술혁신정책과 연계된 임무프로그램 구성 31
〈표 10〉 국가 성장전략 및 과학기술혁신정책과 연계된 임무프로그램 구성 32
〈표 11〉 과학기술혁신창조추진비의 임무프로그램 배분('24) 33
〈표 12〉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화 37
〈표 13〉 비교사적 관점의 한국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화 방향 38
[그림 1]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혁신 현황 비교 10
[그림 2] 일본 대학발 스타트업 추이 12
[그림 3] 정책환경 변화와 거버넌스 변동에서 메타거버넌스를 적용한 상호작용 모델 14
[그림 4] 분석의 틀 16
[그림 5] 일본 행정개혁 전후 정부조직 22
[그림 6] 제2기 아베 내각 전후 정책회의 중심 정책프로세스 변화 비교 23
[그림 7] 일본 내각 주요기구 중심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프레임워크('24) 25
[그림 8] 내각부 본부 및 내각관방 정원변화('00~'22) 28
[그림 9] 내각관방 병임임력 변화('00~'22) 28
[그림 10] 내각인사국과 인사원 관계 2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