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Merchandise trade posts strong growth in Q1 ahead of tariff hikes

(2025년 1분기 세계 상품무역, 관세 인상 앞두고 강한 성장세)
□ WTO는 2025년 1분기 세계 상품무역량이 전년 동기 대비 5.3%, 전분기 대비 3.6% 증가했다고 발표함
ㅇ 북미 지역 수입이 13.4% 급증하며 무역 증가세를 견인했고, 이는 미국의 2분기 관세 인상 발표에 앞서 기업들이 수입을 앞당긴 결과로 해석됨
ㅇ WTO의 기존 연간 성장 전망치(2.7%) 및 조정 전망치(−0.2%)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로, 예상을 뛰어넘는 회복력을 보여줌
ㅇ 다만, 2분기 이후에는 재고 과잉 및 고율 관세의 영향으로 수입 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지역별로는 북미, 아프리카, 중남미 순으로 수입 증가율이 높았으며, CIS(독립국가연합)만이 유일하게 수입이 감소함
ㅇ 수출 측면에서는 중동이 6.3%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아시아는 5.6%, 유럽은 1.9%, 북미는 1.8%의 증가율을 보임
ㅇ 수출 감소는 CIS 지역에서 −1.0%로 나타났으며, 해당 지역은 수입도 −0.5%로 동반 감소함

□ 품목별로는 정보통신기기(+16%), 화학제품(+12%), 의류(+7%)가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고, 자동차(-4%), 연료 및 광물(-4%), 철강(-3%) 등은 감소함
ㅇ 아프리카는 금, 광물, 코코아, 구리를 중심으로 수출이 9%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ㅇ 아시아는 귀금속과 기계를 중심으로 5% 증가, 남미는 귀금속·광석·커피 등이 증가세를 보였으나 연료와 곡물은 감소함

□ 2025년 연간 전망은 6월 기준 0.1% 성장으로 소폭 상향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둔화 가능성이 존재함
ㅇ WTO는 2분기 이후 일부 국가의 수입 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연간 흐름은 정체 국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
ㅇ 특히 미국의 경우, 1분기 수입이 25% 급증한 반면 2분기(4~5월)에는 증가율이 1%로 급락함

□ WTO는 2025년 상반기의 높은 무역 성장률이 공급망 조정, 선제적 수입 전략, 지역별 회복력 차이 등에 기인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으며, 향후 관세 정책과 수요 감소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함
ㅇ 글로벌 교역 환경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보호무역 강화 속에서 향후 유동성이 크다는 점도 강조함

해시태그

#세계경제성장 # 트럼프관세 # 무역량증가 # 세계경제회복력 # 글로벌경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Merchandise trade posts strong growth in Q1 ahead of tariff hikes

(2025년 1분기 세계 상품무역, 관세 인상 앞두고 강한 성장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