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사임 배경
ㅇ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2024년 10월 취임 이후 연이은 선거 패배로 집권 자민당(LDP)과 연립 여당이 참·중의원 모두에서 70년 만에 과반을 상실하자 2025년 9월 7일 사임을 발표함
- 내적으로는 당내 분열, 재정 스캔들, 물가 상승과 같은 문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점, 외적으로는 대미(對美) 관세협상과 동북아 안보 환경 악화가 부담으로 작용함
- 7월 참의원 선거 패배 이후 사퇴 압박이 거세졌고, 당내 핵심 인사인 모리야마 간사장의 사임으로 입지가 더욱 약화됨
2. 차기 총리 후보 및 선출 과정
ㅇ 자민당은 이번 주에 당대표 선거에 대한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며, 투표는 10월 초에 실시될 가능성이 큼
- 모리야마 전 간사장이 당 지도부 선출 과정에서 당원들의 폭넓은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점을 비추어보면, 이번 투표는 국회 내 자민당 소속 의원 295명과 전국 일반 당원에게 배정된 295표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
ㅇ 주요 후보:
①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상, 아베 전 총리 계보)
②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쌀 가격 위기 대응 주도, 스가 지지)
③ 모테기 도시미츠 (전 외무상, 베테랑 정치인)
④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전 외무상)
⑤ 고바야시 다카유키 (보수 성향의 차세대 의원)
3. 자민당의 과제
ㅇ 자민당은 분열된 당내 세력을 통합하고 경제·부패 문제로 불만을 품은 대중의 신뢰를 회복해야 함
- 선거 패배를 계기로 우경화하여 포퓰리즘 정당 지지층을 흡수할지, 중도 확장을 통해 도시 유권자에 어필할지 노선 선택이 중요함
- 의회에서의 과반 상실로 법안 처리를 위해 야당과 협력이 불가피하며, 내각 불신임안에 취약해짐
4. 외교·안보적 파급효과
ㅇ 미·일 무역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일본이 협정에서 합의한 시장 개방, 규제 개선, 농산물·공산품 관련 조치 등의 성과가 미흡할 시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이와 관련된 갈등 발생 가능성 존재
-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의 방위비 분담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제약과 맞물려 차기 지도부의 부담이 될 전망
ㅇ 중국, 북한, 러시아의 군사적 도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안정적이고 강력한 리더십이 요구됨
ㅇ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2024년 10월 취임 이후 연이은 선거 패배로 집권 자민당(LDP)과 연립 여당이 참·중의원 모두에서 70년 만에 과반을 상실하자 2025년 9월 7일 사임을 발표함
- 내적으로는 당내 분열, 재정 스캔들, 물가 상승과 같은 문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점, 외적으로는 대미(對美) 관세협상과 동북아 안보 환경 악화가 부담으로 작용함
- 7월 참의원 선거 패배 이후 사퇴 압박이 거세졌고, 당내 핵심 인사인 모리야마 간사장의 사임으로 입지가 더욱 약화됨
2. 차기 총리 후보 및 선출 과정
ㅇ 자민당은 이번 주에 당대표 선거에 대한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며, 투표는 10월 초에 실시될 가능성이 큼
- 모리야마 전 간사장이 당 지도부 선출 과정에서 당원들의 폭넓은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점을 비추어보면, 이번 투표는 국회 내 자민당 소속 의원 295명과 전국 일반 당원에게 배정된 295표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
ㅇ 주요 후보:
①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상, 아베 전 총리 계보)
②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쌀 가격 위기 대응 주도, 스가 지지)
③ 모테기 도시미츠 (전 외무상, 베테랑 정치인)
④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전 외무상)
⑤ 고바야시 다카유키 (보수 성향의 차세대 의원)
3. 자민당의 과제
ㅇ 자민당은 분열된 당내 세력을 통합하고 경제·부패 문제로 불만을 품은 대중의 신뢰를 회복해야 함
- 선거 패배를 계기로 우경화하여 포퓰리즘 정당 지지층을 흡수할지, 중도 확장을 통해 도시 유권자에 어필할지 노선 선택이 중요함
- 의회에서의 과반 상실로 법안 처리를 위해 야당과 협력이 불가피하며, 내각 불신임안에 취약해짐
4. 외교·안보적 파급효과
ㅇ 미·일 무역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일본이 협정에서 합의한 시장 개방, 규제 개선, 농산물·공산품 관련 조치 등의 성과가 미흡할 시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이와 관련된 갈등 발생 가능성 존재
-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의 방위비 분담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제약과 맞물려 차기 지도부의 부담이 될 전망
ㅇ 중국, 북한, 러시아의 군사적 도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안정적이고 강력한 리더십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