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ultilateral Sanctions Monitoring Team, MSMT)은 10.22.(수)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에 대한 참여국 공동성명을 발표함. 이번에 두 번째로 발간되는 MSMT 보고서는 ▲북한의 주요 사이버 조직 정보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및 세탁 ▲북한의 해외 IT 인력 활동 ▲북한의 정보 탈취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ㅇ MSMT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다자간 모니터링 메커니즘으로, 러시아 거부권 행사로 작년 4월 안보리 북한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이 해체된 데 대한 대응으로 주요 11개국 참여하 ‘24.10월 출범하였으며, ‘25.5월 「러북 군사협력」을 주제로 1차 보고서 발간
- (참여국)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4.1월-’25.9월간 28.4억 불(한화 약 4조 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했으며, 올해에만 약 16.5억 불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함. 북한은 탈취한 가상자산을 세탁한 후, 중국, 러시아, 홍콩, 캄보디아 등에 소재한 해외 브로커들을 통해 현금화하고 있음. 아울러, 북한 해외 IT 인력들은 최소 8개국*에 약 1~2천명이 체류 중이며, 원자력공업성, 군수공업부 등 유엔 제재대상 단체의 하위기관에 소속되어 소득의 절반 가량을 북한에 송금하고 있음
* 중국, 러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적도기니, 기니,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등
□ 이번 보고서 발간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세탁과 IT 인력 활동 과정에서 드러난 다양한 유엔 대북제재 위반 활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하고, 북한 사이버 활동의 수법과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출처]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 관련 보고서 발간 (2025.10.22.) / 외교부 보도자료
ㅇ MSMT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다자간 모니터링 메커니즘으로, 러시아 거부권 행사로 작년 4월 안보리 북한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이 해체된 데 대한 대응으로 주요 11개국 참여하 ‘24.10월 출범하였으며, ‘25.5월 「러북 군사협력」을 주제로 1차 보고서 발간
- (참여국)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4.1월-’25.9월간 28.4억 불(한화 약 4조 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했으며, 올해에만 약 16.5억 불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함. 북한은 탈취한 가상자산을 세탁한 후, 중국, 러시아, 홍콩, 캄보디아 등에 소재한 해외 브로커들을 통해 현금화하고 있음. 아울러, 북한 해외 IT 인력들은 최소 8개국*에 약 1~2천명이 체류 중이며, 원자력공업성, 군수공업부 등 유엔 제재대상 단체의 하위기관에 소속되어 소득의 절반 가량을 북한에 송금하고 있음
* 중국, 러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적도기니, 기니,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등
□ 이번 보고서 발간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세탁과 IT 인력 활동 과정에서 드러난 다양한 유엔 대북제재 위반 활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하고, 북한 사이버 활동의 수법과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출처]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 관련 보고서 발간 (2025.10.22.) / 외교부 보도자료
목차
Ⅰ. DPRK Cyberr Actor and IT Worker Connections to UN Designated Entities 11
Ⅱ. DPRK Cryptocurrency Heists and Financially Motivated Cyber Activity 24
Ⅲ. DPRK Cryptocurrency Laundering 42
Ⅳ. DPRK IT Workers 52
Ⅴ. DPRK Malicious Cyber Activities and Defense Industrial Base (DIB) Targeting 9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The DPRK’s Violation and Evasion of UN Sanctions through Cyb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 Activities
(북한의 사이버 및 정보기술 노동자 활동을 통한 유엔 제재 위반 및 회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