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밀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살인 사건이 빈번해짐에 따라, 피해자 보호의 실효성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현행 제도는 가해자 출소, 석방 정보가 피해자의 신청이 있어야만 제공되며, 훈방처럼 정식 수사(입건) 전 조치는 통지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어 초기 보복 위험에 무방비하다. 미국(VINE), 영국(VNS) 등 해외 사례는 자동 통지와 제도 안내 의무 법제화를 통해 피해자 안전을 확보한다. 이에 따라, ① 특히 친밀 관계 범죄에 대해서는 출소, 훈방 등 신변 변동 정보를 필수적 자동 통지 항목에 포함하고, ② 안내 주체 및 시점을 법제화하여 피해자가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③ 통지 시 접근금지 등 보호 조치 신청을 원스톱으로 연계 지원하는 의무를 피해자 지원 전담기관에 부여하여 실질적인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목차
1. 가해자 출소 통보 기준 명확화 시급
2. 관련 법령 및 피해자 보호 한계
 (1) 범죄 피해자 통지 제도 관련 법령
 (2) 한계
3.해외 입법 및 정책 동향
 (1) 미국
 (2) 영국
4. 개선과제
 (1) 통지 제도 안내 주체 및 시점의 법제화
 (2) ‘친밀 관계 범죄’ 자동 통지 입법
 (3) 피해자 맞춤형 보호조치 연계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친밀 관계 폭력과 보복 방지 : 가해자 출소·석방 통지 의무화 입법 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