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북한 인공지능 현황분석과 정책적 고려 사항 : 공개자료를 중심으로

본 보고서는 공개자료에 기반하여 북한의 인공지능 기술 발전 현황과 이에 수반되는 군사ㆍ사이버 안보상의 함의를 분석한다. 북한은 1990년대 후반부터 패턴 인식, 음성 처리, 데이터 최적화 등을 중심으로 AI 기반 연구를 축적해 왔으며 2010년대 이후 연구기관 확충과 자립적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내부 역량을 강화해왔다. 최근 공개된 안면인식, 다중 객체 추적, 음성합성 경량화, 억양 식별 등 AI 연구는 제한된 연산ㆍ데이터 환경을 전제한 상태에서도 경량화 구조 설계 등을 통해 인식 정확도와 처리 속도의 동시 향상을 추구해왔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최적화는 고성능 연산자산 없이도 감시, 식별, 음성 합성, 행동 추적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들 공개자료는 민간 분야에 한정하여 제시되었으나 군사용 활용에도 적합한 특성을 보인다. 안면인식과 다중 추적 기술은 제한된 영상 품질에서도 목표 식별과 이동 경로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음성 합성 및 억양 식별 기술은 신원 위장, 지휘 통신 교란 및 사회공학적 공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북한 사이버 행위자가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는 경우 암호자산 탈취, 자금세탁, 위장 신원 생성 등 전 과정의 속도와 규모가 비약적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북ㆍ러 및 북ㆍ중 간 기술ㆍ인력 협력은 이러한 기술의 실전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변수로 평가되며, 이에 따라 북한의 영상ㆍ음성 기반 AI 연구 동향을 정밀 모니터링하고 관련 기술의 군사ㆍ사이버 전용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출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북한의 AI 기술 역량

Ⅲ. 북한 AI 기술의 위협 영역

Ⅳ. 시사점 및 정책적 고려 사항

해시태그

#북한인공지능 # 북한AI연구 # AI기술군사전용 # 안면인식기술 # 음성합성기술 # 암호자산탈취 # 사이버안보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북한 인공지능 현황분석과 정책적 고려 사항 : 공개자료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