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20 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110 대 국정과제에는 2027 년까지 100 만 디지털인재를 양성 · 공급하여 미래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방침이 포함됨.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일본은 2022 년부터 5 년 간 230 만 명을 디지털추진인재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함.
□ 한일 양국이 같은 시기 과감한 수치목표를 내걸고 디지털인재 확보에 주력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비전을 이행하기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채택한 만큼 향후 관련 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디지털인재 확보 방침의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하여 양국 정책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함.
(출처: 국회도서관)
□ 한일 양국이 같은 시기 과감한 수치목표를 내걸고 디지털인재 확보에 주력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비전을 이행하기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채택한 만큼 향후 관련 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디지털인재 확보 방침의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하여 양국 정책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함.
(출처: 국회도서관)
목차
목차
일본의 230만 디지털인재 양성·확보 계획 : 미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시책을 중심으로 / 이승주 1
I. 시작하며 1
II. 일본의 디지털인재 관련 현황과 일본이 지향하는 디지털사회 2
1. 낮은 디지털 경쟁력과 디지털인재의 편재 2
2. 디지털로 일본이 지향하는 사회와 시책 전개 분야 2
III. 디지털인재 부족 대응 방침 및 230만 명 양성·확보를 위한 주요 시책 3
1. 디지털인재 부족에 대한 대응방침 3
2. 230만 명 양성·확보를 위한 주요 시책 3
IV. 나가며 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일본의 230만 디지털 인재 양성·확보 계획 :미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시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