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인구감소시대 지역간 인구이동 패턴과 대응전략

보고서는 전입신고서에 기반한 전국의 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 “2014년에는 가족(33.4%)을 사유로 한 이동이 가장 많았으나, 2024년에는 직업(29.4%)을 사유로 한 이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면서, “10년 전에 비해 가족, 주택을 이유로 한 거주 이동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직업, 교육, 주거환경 등을 사유로 하는 이동의 비율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20대 청년층은 원거리 시도간 이동이 활발하며, 20-24세 청년층의 시도간 이동률은 10년 전에 비해 급격히 증가했다”고 언급하면서, 이는 생애주기 특성상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과 직장으로 이동한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했다. 또한 “2020년을 기점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처음 추월하면서 수도권 집중화와 함께 지역간 격차가 심화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보고서는 지역의 인구증가를 위해서는 “합계출산율 제고 정책보다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구 유입 촉진과 유출 방지에 초점을 둔 정책이 더욱 효과적”이라며, 특히 인구이동이 활발한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을 완화하기 위해서 “거점도시별로 특화된 분야에 대규모 인프라를 집중 투자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강화와 안전한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인구감소지역 중에서 청년층 유출에도 불구하고 최근 5년간 중장년층 유입이 꾸준히 발생한 강화군(3,157명), 가평군(2,258명), 영천시(2,911명) 등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도시의 편리함과 전원생활의 여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지역들이 중장년층의 새로운 정착지로 선택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지자체는 활동적이고 경제력을 갖춘 중장년층(2차 베이비붐 세대 등)을 전략적으로 유치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1

목차 10

요약 4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5

제2장 인구이동 현황과 변화 16

제1절 지역간 인구이동의 변화 17

1. 전체 인구이동의 변화 17

2. 연령별 인구이동의 변화 19

제2절 인구이동과 지역 특징 22

1. 지역별 인구 분포 22

2. 수도권 인구 집중 27

제3장 지역 인구구조 변화 29

제1절 저출생과 고령화 30

1. 저출생: 지역별 합계출산율 30

2. 고령화: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 33

제2절 청년 인구이동 35

1. 연령별 인구이동 분석 35

제4장 지역 인구이동 이슈와 정책방향 43

제1절 인구감소와 관련된 지역 특성 44

제2절 청년층 수도권으로의 이동 46

제3절 지역맞춤형 인구 전략 50

제5장 결론 61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62

제2절 후속 연구방향 65

참고문헌 69

1. 문헌 자료 70

2. 온라인 자료 70

3.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70

판권기 71

표 3-1. 시군구별 합계출산율 순위(상위, 하위) 31

표 3-2. 시군구별 20-24세 순이동률 순위(상위, 하위) 39

표 3-3. 시군구별 25-29세 순이동률 순위(상위, 하위) 40

표 3-4.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전입연령별 순이동자수 41

표 4-1. 지역(전국 시군구) 인구 변수들 간 상관관계 44

표 4-2. 전출시도별 수도권 전입 청년 인구 46

표 4-3. 비수도권에서 수도권 전입 청년 인구 이동사유 48

표 4-4. 본 분석의 측정 변수 설명 50

표 4-5. 현 시도에서의 거주의향 영향요인 분석 결과 53

표 4-6.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인구감소지역 50-64세 순이동 56

표 4-7.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인구감소지역 50-64세 순이동 56

표 4-8. 충청북도, 충청남도 인구감소지역 50-64세 순이동 57

표 4-9.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의 인구감소지역 50-64세 순이동 58

표 4-10.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인구감소지역 50-64세 순이동 59

그림 2-1. 연도별 전국 이동규모 변화 17

그림 2-2. 전입사유 (2014, 2024) 18

그림 2-3. 연령별 시도내 시군구간 이동(2004, 2014, 2024) 19

그림 2-4. 연령별 시도간 인구이동(2004, 2014, 2024) 20

그림 2-5. 연령별 시군구, 시도간 이동률 비교(2024) 21

그림 2-6. 연령별 전입사유(2024) 21

그림 2-7. 시군구별 2020년 대비 2024년 인구증가율 22

그림 2-8. 시군구별 순이동률(2024년) 23

그림 2-9. 최근 5개년 평균 순유입인구 24

그림 2-10. 최근 5개년 평균 순유입인구 LISA Cluster Map 26

그림 2-11.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비율 27

그림 2-12.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GRDP 비율 28

그림 3-1. 시도별 합계출산율(2024) 30

그림 3-2. 시군구 합계출산율(2024년) 32

그림 3-3. 시군구 고령인구비율 33

그림 3-4. 시군구 노년부양비(2023년) 34

그림 3-5. 시군구 청년인구비율(2024년) 36

그림 3-6. 20-24세 시도간 이동 네트워크 37

그림 3-7. 25-29세 시도간 이동 네트워크 38

그림 3-8. 30-34세 시도간 이동 네트워크 38

그림 3-9. 20대 전입 사유(전국, 서울시, 경기도) 42

그림 4-1. 수도권 전입 청년의 전출 시도(연령별, 성별) 47

그림 4-2. 수도권 전입 청년인구(2020, 2024) 49

그림 4-3. 5년 후 현재 시도에서의 거주의향 54

그림 4-4.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감소지역 55

해시태그

#인구이동 # 인구변화 # 인구정책 # 인구감소지역 # 연구보고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인구감소시대 지역간 인구이동 패턴과 대응전략